본문 바로가기
2008.02.24 03:28

난친이 바위

조회 수 711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난친이 바위

땅이름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사람들이 사는 지역뿐만 아니라 산이나 강·골짜기·바위 등의 이름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이런 이름 가운데는 사전에서 찾을 수 없는 말들이 다수 발견된다. 강원도 홍천군 동면 좌운리의 ‘난친이 바위’도 이런 이름 가운데 하나다. 이 바위는 마을 앞 산에 절벽처럼 서 있는데 마을 사람들은 이 바위에 난친이가 산다고 믿고 있다.

그런데 ‘난친이’가 어떤 새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 없다. 우리말 사전이나 동물도감에서도 이 새를 찾을 방법은 없다. 왜냐하면 ‘난친이’는 부엉이나 올빼미처럼 큰 새를 뜻하는 말로만 쓰이기 때문이다. 마을 사람들은 난친이는 낮에 활동하지 않고 밤에 활동한다고 믿는다. 그뿐만 아니라 난친이가 날면 마을에 좋은 일이 생긴다는 믿음도 갖고 있다. 그러면서도 막상 난친이가 나는 모습을 보았다는 이는 없다.

그렇다면 ‘난친이’는 어떤 새일까? 사실 이 말은 ‘나친’ 또는 ‘라친’이라는 몽골어에서 온 말이다. <훈몽자회>에는 ‘나친 왈 아골(鴉?)’이라는 풀이가 나타나며, <역어유해>에서도 ‘아골(큰새)’을 ‘나친이’라고 적고 있다. 또한 이기문 교수는 이 단어의 기원을 토이기어 ‘라진’에서 찾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라진’, ‘나친’, ‘난친이’는 모두 ‘큰 새’를 뜻하는 몽골어 기원의 어휘로 고려시대 이후에 들어온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수백 년 전에 생성된 이름이 오늘날까지도 쓰이는 건 땅이름이 강한 생명력을 지닌 까닭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89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54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0390
3234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948
3233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948
3232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948
3231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949
3230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949
3229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953
3228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954
3227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954
3226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955
3225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956
3224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961
322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961
3222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962
3221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962
3220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963
3219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965
3218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966
3217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967
3216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967
3215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969
3214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969
3213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9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