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44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태평양 넓은 지역에 흩어져 쓰이고 있는 일천여 언어들은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에 든다. 아프리카 동쪽 인도양에 있는 마다가스카르섬에서부터 남태평양의 동쪽 끝 이스터섬에 이르는 지역에 2억7천만 명 정도가 쓰고 있다. 한때는 말레이-폴리네시아 말겨레라 부르기도 하였다. 이 말겨레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말이 말레이말인데,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싱가포르·브루나이 등 네 나라와 그 이웃지역에서 2억 명 이상이 사용한다. 말레이시아말과 인도네시아말은 물론 같은 말레이말이지만, 요즘 들어 낱말이나 문법구조에서 약간 차이가 있다.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에 드는 몇몇 말을 살펴보자. 필리핀은 지금 영어를 주로 쓰지만, 그들의 토박이말은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에 든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타갈로그말인데, 영어와 함께 필리핀의 공용어이며, 현재 필리핀 학교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다. 뉴질랜드 하면 우리는 마오리족을 떠올린다. 이들이 쓰는 마오리말은 뉴질랜드의 토박이말로서 지금도 십만 명 가까이 쓰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비바람이 치던 바다’로 시작하는〈연가〉라는 노래로 잘 알려진 ‘po karekare ana’는 바로 마오리말로 된 노래다.

태평양 한복판에 있는 하와이섬에서 쓰이는 토박이말이 하와이말이다. 이천 명 정도가 영어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 하와이말은 다른 오스트로네시아말처럼 말소리가 매우 단순하다. 홀소리는 다섯 가지만 있고, 닿소리는 h, k, l, m, n, p, w만 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7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4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292
1962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306
1961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304
1960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301
1959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299
1958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99
1957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96
1956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296
1955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91
1954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91
1953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90
1952 바람의종 2012.07.27 9281
1951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81
1950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80
1949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79
1948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77
1947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71
1946 되놈 바람의종 2008.02.23 9270
1945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67
1944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65
1943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260
1942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59
1941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