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2 20:37

큰 바위

조회 수 780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큰 바위

미국의 소설가 너새니얼 호손의 <큰 바위 얼굴>은 산골짜기 어느 마을에 큰 바위 얼굴을 닮은 위인을 기다리며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소년과 마을 사람들이 기다리던 큰 바위 얼굴을 한 위인은 장군도 아니었고 시인도 아니었다. 오히려 그는 바위를 닮아 살아온 주인공 자신이었던 셈이다.

사람은 자신이 놓인 자연을 닮아가면서 살아간다. 경기도 두물머리(양수리) 사람들의 삶을 그린 시인 권대응은 “양수리 사람들은 강을 닮으며 살아간다”고 하였다. 땅이름도 자연의 한 부분으로 존재한다. <금강산 기행>을 쓴 이광수는 구름과 안개가 걷힌 금강산 비로봉에 지극히 평범한 덕을 지닌 ‘배바위’를 보고는 소설가다운 상상을 자연스럽게 펼쳐낸다. 배바위는 뱃사람들이 바위를 기준으로 삼아 배가 나아갈 방향을 정하는 바위라는 뜻이다. 만장봉두에 말없이 앉아 있다가 푸른 바닷길을 열어주니 얼마나 큰 덕을 쌓는 일인가. 성인도 미치지 못할까 두려워한 덕이지만 사람이라면 누구나 소망하는 평범한 덕이다.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큰 바위 이름은 모양이나 기능에서 비롯된 것들이 많다. 우뚝 선 모습의 ‘선바위’, 병풍처럼 펼쳐 있는 ‘병풍바위’, 칼날처럼 날카로운 ‘칼바위’ 등이 그러하다. 특히 강원 산간 마을에는 이런 이름이 더 많다. 이런 이름들에는 큰 바위 얼굴처럼 자연을 닮아가는 순박한 사람들의 소박한 삶이 배어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8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87
1214 자라목 바람의종 2007.03.16 7595
1213 진작에 바람의종 2010.03.07 7594
1212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590
1211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588
1210 기라성 바람의종 2007.10.14 7586
1209 어학 바람의종 2010.08.25 7584
1208 싸게 가더라고! 바람의종 2009.10.01 7583
1207 랜드마크는 명소,상징물,표지물 바람의종 2009.11.19 7582
1206 살코기 바람의종 2009.10.08 7580
1205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578
1204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578
1203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578
1202 바늘방석 風磬 2006.11.26 7576
1201 부엌떼기, 새침데기, 귀때기 바람의종 2009.02.10 7576
1200 불티나다 風磬 2006.12.23 7572
1199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567
1198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565
1197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62
1196 바꼈다 바람의종 2008.09.03 7561
1195 무더위 바람의종 2010.07.09 7557
1194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545
1193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