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2 20:37

큰 바위

조회 수 792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큰 바위

미국의 소설가 너새니얼 호손의 <큰 바위 얼굴>은 산골짜기 어느 마을에 큰 바위 얼굴을 닮은 위인을 기다리며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소년과 마을 사람들이 기다리던 큰 바위 얼굴을 한 위인은 장군도 아니었고 시인도 아니었다. 오히려 그는 바위를 닮아 살아온 주인공 자신이었던 셈이다.

사람은 자신이 놓인 자연을 닮아가면서 살아간다. 경기도 두물머리(양수리) 사람들의 삶을 그린 시인 권대응은 “양수리 사람들은 강을 닮으며 살아간다”고 하였다. 땅이름도 자연의 한 부분으로 존재한다. <금강산 기행>을 쓴 이광수는 구름과 안개가 걷힌 금강산 비로봉에 지극히 평범한 덕을 지닌 ‘배바위’를 보고는 소설가다운 상상을 자연스럽게 펼쳐낸다. 배바위는 뱃사람들이 바위를 기준으로 삼아 배가 나아갈 방향을 정하는 바위라는 뜻이다. 만장봉두에 말없이 앉아 있다가 푸른 바닷길을 열어주니 얼마나 큰 덕을 쌓는 일인가. 성인도 미치지 못할까 두려워한 덕이지만 사람이라면 누구나 소망하는 평범한 덕이다.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큰 바위 이름은 모양이나 기능에서 비롯된 것들이 많다. 우뚝 선 모습의 ‘선바위’, 병풍처럼 펼쳐 있는 ‘병풍바위’, 칼날처럼 날카로운 ‘칼바위’ 등이 그러하다. 특히 강원 산간 마을에는 이런 이름이 더 많다. 이런 이름들에는 큰 바위 얼굴처럼 자연을 닮아가는 순박한 사람들의 소박한 삶이 배어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1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7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661
3128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569
3127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573
3126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575
3125 너무 風文 2023.04.24 1575
3124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579
3123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583
3122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83
3121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583
3120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583
3119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585
3118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587
3117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588
3116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594
3115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594
3114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594
3113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595
3112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599
3111 존맛 風文 2023.06.28 1602
3110 단골 風文 2023.05.22 1603
3109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604
3108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05
3107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6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