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1 15:47

애기똥풀

조회 수 608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애기똥풀

풀꽃이름에 ‘똥/오줌’이 붙는 것은 좀 심하다 싶지만, ‘애기똥풀’은 줄기를 꺾으면 노란색 젖 같은 액즙이 나오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또한 오뉴월에 꽃이 피는데, 노란 꽃잎 넉 장이 붙어 있는 작은 꽃모양도 예쁘게 싸 놓은 애기똥을 연상시킨다. ‘젖풀/ 씨아똥/ 까치다리’라고도 부른다.

한자말로는 ‘백굴채’(白屈菜)라고 하여 배가 아플 때 진통제로 쓰거나 짓무른 살갗에 발랐는데, 시골에서 자란 사람은 젖풀을 바르면 사마귀가 줄어든다는 말도 들어봤을 것이다. 요즘 들어 음식이나 새집증후군 따위 갖가지 환경문제로 말미암아 ‘아토피’란 병증이 극성을 부리는데, 이 풀이 치료재로 환영을 받고 있다고 한다. 애기들의 아토피를 치료하는 데 이 풀이 긴요하게 쓰이는 것을 보면 이름을 붙인 옛 어른들이 선견지명이 있는 것도 같다.

시골 동네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꽃이지만 우리가 관심도 없던 풀꽃이어서 동화에도 자주 등장하는 풀이름이다. 시 소재로도 흔히 쓰인다. “‘나 서른다섯 될 때까지/ 애기똥풀 모르고 살았지요/ 해마다 어김없이 봄날 돌아올 때마다/ 그들은 내 얼굴 쳐다보았을 텐데요.”(안도현 ‘애기똥풀’) 하찮은 것 같아도 당당하다고 노래한다. “시궁창 물가에 서서도/ 앙증스레 꽃 피워 문/ 애기똥풀 보아라/ 어디 연꽃만이 연꽃이겠느냐.”(복효근 ‘애기똥풀꽃’) 그렇다. 장미나 백합만 꽃이 아니고, 애기똥풀이나 할미꽃의 아름다움마저 깨닫게 되는 것이 철들고 나이 드는 것의 소중함 아닐까.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애기똥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8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3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20
2908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18
2907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819
2906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20
2905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822
2904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825
2903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840
2902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842
2901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63
2900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878
2899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880
2898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882
2897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897
2896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900
2895 너더리 바람의종 2009.02.17 5907
2894 말째다 바람의종 2008.06.24 5910
2893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11
2892 경품과 덤 바람의종 2009.07.13 5911
2891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917
2890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5921
2889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24
2888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27
2887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59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