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1 15:41

슬기와 설미

조회 수 866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슬기와 설미

우리 토박이말에는 이치를 밝히고 올바름을 가리는 일에 쓸 낱말이 모자라 그 자리를 숱하게 중국 한자말로 메운다. 이런 형편은 우리말이 본디 그렇게 돼 있어서 그런 게 아니다. 머리를 써서 이치를 밝히고 올바름을 가리는 일을 맡았던 사람들이 우리말을 팽개치고 한자말만 쓴 까닭이다. 마음이 있으면 말은 생기는 법인데 그들은 우리말에 마음을 주지 않았다. ‘슬기’와 ‘설미’는 그런 역사를 뚫고 이치를 밝히며 올바름을 가리면서 끈질기게 살아남은 토박이말이다.

‘슬기’는 임진왜란 뒤로 가끔 글말에 적힌 덕분에 무서운 한자말 발길에 짓밟히면서도 살아남아 우리 품까지 안겨왔다. 아직도 ‘슬기’보다는 ‘지혜’를 즐겨 쓰는 이가 많지만 국어사전들이 “사물의 이치를 빨리 깨달으며 사물을 처리하는 방도를 옳게 잘 생각해내는 재간이나 능력”이라고 뜻풀이를 똑똑히 달아 올림말로 실어놓아서 갈수록 널리 쓰일 것이다.

‘설미’는 15세기 끝 무렵에 엮은 〈악학궤범〉에 한 차례 글말로 적힌 바가 있지만 여태 국어사전에는 오르지 못한 말이다. 다만 ‘눈’의 매김을 받으면서 ‘눈썰미’로만 국어사전에 올라 있을 뿐이다. 하지만 ‘설미’는 “이런저런 사정을 두루 살펴서 올바르고 그릇된 바를 제대로 가늠하는 마음의 힘”이라는 뜻을 지닌 빼어난 우리 토박이말이다. 악학궤범에는 나쁜 것을 쫓는 서낭 ‘처용’의 모습을 추켜세우면서 “설 모도와 有德신 가매”라 했다. “처용이 ‘설미’를 모아 가지고 있어서 가슴이 유덕하다”는 뜻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360
1654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580
1653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580
1652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579
1651 점심 바람의종 2010.08.17 8575
1650 '난'과 '란' 바람의종 2008.06.17 8574
1649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72
1648 주책없다 바람의종 2007.05.22 8567
1647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567
1646 사리 風磬 2006.12.26 8566
1645 아성 바람의종 2007.07.30 8565
1644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562
1643 실업난 바람의종 2009.02.04 8561
1642 누비다 風磬 2006.11.01 8555
1641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52
1640 비갈망 바람의종 2008.01.29 8550
1639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547
1638 담다 / 담그다 바람의종 2012.03.02 8545
1637 여부(與否) 바람의종 2010.01.20 8544
1636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42
1635 옥새와 옥쇄 바람의종 2008.09.06 8542
1634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41
1633 넋두리 風磬 2006.10.30 85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