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0 15:39

쓰겁다

조회 수 1118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쓰겁다

맛을 나타내는 말로 ‘쓰다, 달다, 짜다, 시다, 맵다’가 있다. 생물에서는 맛감각을 넷으로 나누고 ‘맵다’를 포함하지 않지만 우리 느낌으로는 ‘맵다’도 맛감각에 넣는다. ‘매운맛’이라는 말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이들 말에 ‘-갑, -겁, -굽’을 결합하면 ‘어떤 느낌이 있다’는 뜻이 더해진다. ‘차다’와 ‘차갑다’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갑, -겁, -굽’의 뜻은 남북이 같지만 결합 됨됨이는 차이가 있다. 남북에서 쓰이는 말을 견줘보자.

쓰겁다, 달갑다, 짜갑다, 짜굽다, 시굽다(북)
쓰굽다, 달갑다, 짜겁다, 짜굽다, 시굽다, 매굽다(남)

‘달갑다’는 좀 다른 뜻으로 쓰이는데, 남북 모두 ‘미각으로 단맛이 있다’는 뜻으로는 쓰이지 않고, ‘마음으로 달게 느끼다’, ‘마음에 들다’는 뜻으로 쓰인다. ‘쓰겁다’를 ‘쓴맛이 있다’는 뜻으로 쓰는 것은 남북이 같지만, 북녘에서는 ‘달갑다’의 반대말로도 쓴다. “쓰거운 얼굴을 했다”에서 ‘쓰겁다’는 ‘마음에 달갑지 않고 언짢다’는 뜻이다.

‘쓰다’도 비슷한 뜻이 있어서 그 차이를 밝힐 필요가 있다. ‘쓴소리’와 ‘쓰거운 소리’를 비교해 보면 역시 ‘-겁’에서 차이가 나는데, 쓴소리는 ‘마음에 달갑지 않은 소리’, ‘쓰거운 소리’는 ‘마음에 달갑지 않은 느낌이 드는 소리’라 할 수 있다. ‘쓰다’가 확정적인 것에 비해 ‘쓰겁다’는 ‘어떠한 것 같다’는 정도로 확정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6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3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191
2138 아니요와 아니오 바람의종 2010.04.01 11369
2137 아니오, 아니요 바람의종 2008.11.27 6221
2136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454
2135 아니예요 바람의종 2009.03.18 6752
2134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689
2133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921
2132 아니꼽다 風磬 2007.01.19 15057
2131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757
2130 아내와 부인 바람의종 2010.03.19 10600
2129 아나운서 바람의종 2009.05.30 6330
2128 아나고 바람의종 2008.02.16 7756
2127 아귀다툼 바람의종 2007.05.16 12646
2126 아구, 쭈꾸미 바람의종 2011.11.13 9938
2125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10
2124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43
2123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909
2122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940
2121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847
2120 쓸개 빠진 놈 바람의종 2008.02.25 11776
2119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290
2118 쓰봉 風文 2023.11.16 1285
2117 쓰레기 분리 수거 바람의종 2008.09.02 78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