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0 15:39

쓰겁다

조회 수 1117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쓰겁다

맛을 나타내는 말로 ‘쓰다, 달다, 짜다, 시다, 맵다’가 있다. 생물에서는 맛감각을 넷으로 나누고 ‘맵다’를 포함하지 않지만 우리 느낌으로는 ‘맵다’도 맛감각에 넣는다. ‘매운맛’이라는 말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이들 말에 ‘-갑, -겁, -굽’을 결합하면 ‘어떤 느낌이 있다’는 뜻이 더해진다. ‘차다’와 ‘차갑다’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갑, -겁, -굽’의 뜻은 남북이 같지만 결합 됨됨이는 차이가 있다. 남북에서 쓰이는 말을 견줘보자.

쓰겁다, 달갑다, 짜갑다, 짜굽다, 시굽다(북)
쓰굽다, 달갑다, 짜겁다, 짜굽다, 시굽다, 매굽다(남)

‘달갑다’는 좀 다른 뜻으로 쓰이는데, 남북 모두 ‘미각으로 단맛이 있다’는 뜻으로는 쓰이지 않고, ‘마음으로 달게 느끼다’, ‘마음에 들다’는 뜻으로 쓰인다. ‘쓰겁다’를 ‘쓴맛이 있다’는 뜻으로 쓰는 것은 남북이 같지만, 북녘에서는 ‘달갑다’의 반대말로도 쓴다. “쓰거운 얼굴을 했다”에서 ‘쓰겁다’는 ‘마음에 달갑지 않고 언짢다’는 뜻이다.

‘쓰다’도 비슷한 뜻이 있어서 그 차이를 밝힐 필요가 있다. ‘쓴소리’와 ‘쓰거운 소리’를 비교해 보면 역시 ‘-겁’에서 차이가 나는데, 쓴소리는 ‘마음에 달갑지 않은 소리’, ‘쓰거운 소리’는 ‘마음에 달갑지 않은 느낌이 드는 소리’라 할 수 있다. ‘쓰다’가 확정적인 것에 비해 ‘쓰겁다’는 ‘어떠한 것 같다’는 정도로 확정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0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5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453
1324 쑥맥, 쑥, 숙맥 바람의종 2010.07.23 12515
1323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55
1322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466
» 쓰겁다 바람의종 2008.02.20 11175
1320 쓰레기 분리 수거 바람의종 2008.09.02 7839
1319 쓰봉 風文 2023.11.16 1267
1318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288
1317 쓸개 빠진 놈 바람의종 2008.02.25 11767
1316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835
1315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928
1314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904
1313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35
1312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10
1311 아구, 쭈꾸미 바람의종 2011.11.13 9938
1310 아귀다툼 바람의종 2007.05.16 12632
1309 아나고 바람의종 2008.02.16 7753
1308 아나운서 바람의종 2009.05.30 6330
1307 아내와 부인 바람의종 2010.03.19 10600
1306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756
1305 아니꼽다 風磬 2007.01.19 15048
1304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913
1303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6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