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0 15:39

쓰겁다

조회 수 1122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쓰겁다

맛을 나타내는 말로 ‘쓰다, 달다, 짜다, 시다, 맵다’가 있다. 생물에서는 맛감각을 넷으로 나누고 ‘맵다’를 포함하지 않지만 우리 느낌으로는 ‘맵다’도 맛감각에 넣는다. ‘매운맛’이라는 말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이들 말에 ‘-갑, -겁, -굽’을 결합하면 ‘어떤 느낌이 있다’는 뜻이 더해진다. ‘차다’와 ‘차갑다’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갑, -겁, -굽’의 뜻은 남북이 같지만 결합 됨됨이는 차이가 있다. 남북에서 쓰이는 말을 견줘보자.

쓰겁다, 달갑다, 짜갑다, 짜굽다, 시굽다(북)
쓰굽다, 달갑다, 짜겁다, 짜굽다, 시굽다, 매굽다(남)

‘달갑다’는 좀 다른 뜻으로 쓰이는데, 남북 모두 ‘미각으로 단맛이 있다’는 뜻으로는 쓰이지 않고, ‘마음으로 달게 느끼다’, ‘마음에 들다’는 뜻으로 쓰인다. ‘쓰겁다’를 ‘쓴맛이 있다’는 뜻으로 쓰는 것은 남북이 같지만, 북녘에서는 ‘달갑다’의 반대말로도 쓴다. “쓰거운 얼굴을 했다”에서 ‘쓰겁다’는 ‘마음에 달갑지 않고 언짢다’는 뜻이다.

‘쓰다’도 비슷한 뜻이 있어서 그 차이를 밝힐 필요가 있다. ‘쓴소리’와 ‘쓰거운 소리’를 비교해 보면 역시 ‘-겁’에서 차이가 나는데, 쓴소리는 ‘마음에 달갑지 않은 소리’, ‘쓰거운 소리’는 ‘마음에 달갑지 않은 느낌이 드는 소리’라 할 수 있다. ‘쓰다’가 확정적인 것에 비해 ‘쓰겁다’는 ‘어떠한 것 같다’는 정도로 확정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8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3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42
2138 세대주 바람의종 2008.11.23 6302
2137 이랑마랑 바람의종 2008.11.24 5513
2136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146
2135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4
2134 명란젓, 창란젓, 토하젓, 토화젓 바람의종 2008.11.24 11224
2133 옛부터, 옛스럽다 바람의종 2008.11.24 8769
2132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25
2131 꿰매다, 시치다 바람의종 2008.11.25 7797
2130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39
2129 띄다, 띠다 바람의종 2008.11.25 11786
2128 여우 바람의종 2008.11.26 5529
2127 충분 바람의종 2008.11.26 6196
2126 죽이란대두 바람의종 2008.11.27 7632
2125 아니오, 아니요 바람의종 2008.11.27 6227
2124 빨강색, 빨간색, 빨강 바람의종 2008.11.27 8946
2123 세일, 리베이트 바람의종 2008.11.27 6813
2122 더펄이 바람의종 2008.11.29 7798
2121 두리뭉실 바람의종 2008.11.29 10471
2120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624
2119 이같이, 이 같은 바람의종 2008.11.29 8411
2118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57
2117 그러모으다, 긁어모으다 바람의종 2008.12.06 74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