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0 15:34

엄리대수와 아시

조회 수 817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엄리대수와 아시

‘호태왕비문’에서, “(추모왕이 하늘의) 시킴을 따라 수레를 몰고 남쪽으로 순행하여 내려오는데, 부여 땅 엄리대수를 지나가게 되었다”라는 기록은 흥미로운 풀이를 하게 한다. 왜냐하면 이 지역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안시성의 위치와도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엄리대수’와 ‘안시’는 어떤 관계에 있을까?

이에 대한 흥미로운 해석은 황윤석의 <이재집>에 나타난다. ‘화음방언자의해’에서 황윤석은 신라 옛말에 ‘아시새’, 곧 ‘어시새’가 있다고 하였다. 그가 어떤 자료를 바탕으로 이러한 해석을 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려가요 <사모곡>에도 나타나듯이 우리말에서 ‘어시’는 ‘어머니’, 또는 ‘부모’란 뜻을 지닌다. 또한 경남 함안의 옛이름이 ‘아시량’이다.

안시성을 봉황성이라 부른 기록은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윤석은 ‘봉황’은 ‘부헝’(부엉이)을 한자음으로 적은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이 풀이는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어머니’나 ‘부모’ 또는 ‘크고 평안함’을 뜻하는 토박이말 ‘아시’를 ‘안시’라는 한자음으로 적었다는 설명은 매우 설득적이다. 또한 <삼국사기> 동명성왕 조에서는 이 강의 이름을 ‘엄사수’ 또는 ‘개사수’라고 표현하였다. ‘엄사’는 ‘엄리’보다 ‘어시’에 더 가깝다.

이처럼 ‘엄리대수’와 ‘아시’가 동일계 어휘라고 한다면, 삼국의 언어가 매우 동질적이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비록 고구려와 신라의 정치 세력은 달랐다고 할지라도 우리 조상들의 말은 같은 뿌리를 갖고 있음을 땅이름이 보여주는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9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5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09
1478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10
1477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09
1476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09
1475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08
1474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06
1473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05
1472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04
1471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04
1470 노파심 바람의종 2007.06.12 8099
1469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098
1468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096
1467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095
1466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8092
1465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086
1464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084
1463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079
1462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074
1461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070
1460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066
1459 널다리와 너더리 바람의종 2008.07.02 8064
1458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58
1457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0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