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0 15:34

엄리대수와 아시

조회 수 839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엄리대수와 아시

‘호태왕비문’에서, “(추모왕이 하늘의) 시킴을 따라 수레를 몰고 남쪽으로 순행하여 내려오는데, 부여 땅 엄리대수를 지나가게 되었다”라는 기록은 흥미로운 풀이를 하게 한다. 왜냐하면 이 지역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안시성의 위치와도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엄리대수’와 ‘안시’는 어떤 관계에 있을까?

이에 대한 흥미로운 해석은 황윤석의 <이재집>에 나타난다. ‘화음방언자의해’에서 황윤석은 신라 옛말에 ‘아시새’, 곧 ‘어시새’가 있다고 하였다. 그가 어떤 자료를 바탕으로 이러한 해석을 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려가요 <사모곡>에도 나타나듯이 우리말에서 ‘어시’는 ‘어머니’, 또는 ‘부모’란 뜻을 지닌다. 또한 경남 함안의 옛이름이 ‘아시량’이다.

안시성을 봉황성이라 부른 기록은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윤석은 ‘봉황’은 ‘부헝’(부엉이)을 한자음으로 적은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이 풀이는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어머니’나 ‘부모’ 또는 ‘크고 평안함’을 뜻하는 토박이말 ‘아시’를 ‘안시’라는 한자음으로 적었다는 설명은 매우 설득적이다. 또한 <삼국사기> 동명성왕 조에서는 이 강의 이름을 ‘엄사수’ 또는 ‘개사수’라고 표현하였다. ‘엄사’는 ‘엄리’보다 ‘어시’에 더 가깝다.

이처럼 ‘엄리대수’와 ‘아시’가 동일계 어휘라고 한다면, 삼국의 언어가 매우 동질적이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비록 고구려와 신라의 정치 세력은 달랐다고 할지라도 우리 조상들의 말은 같은 뿌리를 갖고 있음을 땅이름이 보여주는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2958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4389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0May
    by 바람의종
    2007/05/10 by 바람의종
    Views 8236 

    번갈아

  5. No Image 26Jul
    by 바람의종
    2010/07/26 by 바람의종
    Views 8230 

    썰매

  6. No Image 22Feb
    by 바람의종
    2009/02/22 by 바람의종
    Views 8230 

    "~들"의 남용

  7. No Image 03Feb
    by 바람의종
    2008/02/03 by 바람의종
    Views 8229 

    물과 땅이름

  8. No Image 06Dec
    by 바람의종
    2008/12/06 by 바람의종
    Views 8226 

    이견을 좁히다

  9. No Image 18Dec
    by 바람의종
    2008/12/18 by 바람의종
    Views 8225 

    ‘자꾸’와 ‘지퍼’

  10. No Image 16Jun
    by 바람의종
    2009/06/16 by 바람의종
    Views 8220 

    소라색, 곤색

  11.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10/05/28 by 바람의종
    Views 8219 

    ~에게, ~와

  12. No Image 04Sep
    by 바람의종
    2008/09/04 by 바람의종
    Views 8218 

    반지락, 아나고

  13. No Image 26Nov
    by 風磬
    2006/11/26 by 風磬
    Views 8216 

    무꾸리

  14. No Image 01Jul
    by 바람의종
    2007/07/01 by 바람의종
    Views 8212 

    면목

  15. No Image 06May
    by 바람의종
    2009/05/06 by 바람의종
    Views 8209 

    승부욕

  16. No Image 20Feb
    by 바람의종
    2008/02/20 by 바람의종
    Views 8208 

    아메리카 토박이말

  17. No Image 28Feb
    by 바람의종
    2010/02/28 by 바람의종
    Views 8208 

    각각 / 씩

  18. No Image 06Aug
    by 바람의종
    2010/08/06 by 바람의종
    Views 8206 

    분노와 대로

  19. No Image 14Feb
    by 바람의종
    2008/02/14 by 바람의종
    Views 8202 

    극동 언어들

  20. No Image 10Feb
    by 바람의종
    2008/02/10 by 바람의종
    Views 8201 

    ‘모라’와 마을

  21. No Image 26Jul
    by 바람의종
    2008/07/26 by 바람의종
    Views 8199 

    김치 속 / 김치 소

  22. No Image 22Oct
    by 바람의종
    2008/10/22 by 바람의종
    Views 8198 

    토끼

  23. No Image 04Mar
    by 바람의종
    2009/03/04 by 바람의종
    Views 8196 

    삼복더위

  24. No Image 27May
    by 바람의종
    2008/05/27 by 바람의종
    Views 8195 

    열 딸라

  25. No Image 31Oct
    by 바람의종
    2007/10/31 by 바람의종
    Views 8195 

    금지옥엽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