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9 17:54

원추리

조회 수 6249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원추리

산과 들에 흔히 나서 봄나물로 새콤달콤하게 무쳐 먹는 ‘원추리’는 한자이름 ‘훤초’(萱草)에서 온 것으로 생각된다. 곧 ‘훤초’에서 편한 발음인 ‘원초’로, 모음조화로 ‘원추’로, 여기에 ‘나리/ 싸리/ 보리 …’들과 같이 ‘리’가 붙어 원추리로 부른 것이 아닐까 한다. 이는 마치 백일홍(百日紅)이 변해서 ‘배롱’으로, 한자말 백채(白寀)의 중국 발음 ‘바이차이’가 ‘배추’로 변한 것과 같이 풀이할 수 있는데, 더 거슬러 오르면 그 반대일 수 있다는 반론도 나온다.

원추리의 순우리말은 ‘넘나물’이다. 입이 넓고 길게 퍼진 것으로 말미암아 ‘넓〉넘’의 과정을 거친 듯하다. 그래서 어떤 이는 광채(廣菜)로 쓰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넙치’를 ‘광어’로 부르는 것처럼 쓸데없는 일이다. 이미 16세기 〈훈몽자회〉에서는 훤(萱)은 ‘넘B믈’로 쓴 적이 있건만, 17세기 〈산림경제〉에는 ‘원츄리/ 업?믈’로 나온다.

원추리 꽃은 진한 노란색인데, 산수유나 개나리의 노랑이 그렇듯 강력한 생명력을 상징한다. 아이를 밴 부인이 사내아이 고추 모양을 한 원추리 꽃봉오리를 지니고 다니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설이 있어서 ‘의남초’(宜男草)라고 부르기도 했다. 또한 근심을 잊게 하는 꽃이라 하여 ‘망우초’(忘憂草)라 일컫기도 했다.

이처럼 꽃도 보고, 나물로 먹고, 아들도 낳게 해 주고, 걱정도 없애 주니 예전에 장독대와 뒤뜰에 그렇게 심었나 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원추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96
2886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576
2885 해장 바람의종 2012.07.23 13452
2884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41
2883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400
2882 똔똔 / 도긴 개긴 바람의종 2012.07.13 15607
2881 일제피해여성 바람의종 2012.07.13 11069
2880 벗기다 / 베끼다 바람의종 2012.07.06 12682
2879 다대기, 닭도리탕 바람의종 2012.07.06 13098
2878 폭염 바람의종 2012.07.05 8723
2877 회피 / 기피 바람의종 2012.07.05 11870
2876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바람의종 2012.07.04 16823
2875 표지 / 표시 바람의종 2012.07.04 11264
2874 무색케, 도입케 / 무색게, 도입게 바람의종 2012.07.03 8650
2873 나까채다, 나꿔채다, 낚아채다 바람의종 2012.07.03 11422
2872 복구 / 복원 바람의종 2012.07.02 7559
2871 베짱이, 배짱이 / 째째하다, 쩨제하다 바람의종 2012.07.02 19814
2870 대비, 대처 바람의종 2012.06.26 7337
2869 엘레지, 사리 바람의종 2012.06.26 8860
2868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20
2867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58
2866 주워섬기다 바람의종 2012.06.20 9395
2865 불쾌한 반응 바람의종 2012.06.20 94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