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9 17:47

한글과 우리말

조회 수 739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글과 우리말

철든 사람이면 ‘한글’과 ‘우리말’의 뜻을 가리지 못할 리는 없다. 한글과 우리말은 그만큼 뜻이 아주 다른 말이다. 그러나 요즘 알 만한 이들이 이들 낱말을 자주 뒤섞어 쓴다. 무엇보다 한글과 우리말을 사랑하고 자랑스럽게 여기면서 빛나게 갈고닦아야 한다고 소매를 걷고 나선 이들 가운데서 그런 사람을 자주 만나니 안타깝다.

한글은 우리 글자 이름이다. 본디 ‘백성 가르치는 바른 소리’(훈민정음)라 불렀으나 줄여서 ‘바른 소리’(정음)라 했는데, 중국 글자를 우러르는 선비들이 사백 년 동안 ‘상스러운 글자’(언자·언문)라 부르며 업신여겼다. 대한제국에 와서 ‘나라 글자’(국자·국문)라 했는데, 주시경 선생이 ‘한글’이라 부르자 제자들이 1927년에 <한글>이라는 잡지를 펴낸 뒤부터 널리 퍼졌다. 남북이 갈라지자 북에서는 한글이 ‘한국글자’로 들린다면서 굳이 ‘조선글자’라 한다.

‘우리말’은 우리 겨레에게서 나고 자란 토박이말이다. 우리 겨레의 마음에서 씨앗이 생겨 겨레의 삶에서 움이 트고 싹이 나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었기에 그대로 우리 얼의 집이다. 그러나 토박이말로만 살아갈 수는 없어 오가며 삶을 주고받는 이웃 겨레의 말도 들여오게 마련이고, 이렇게 들온 남의 말도 제대로 길이 들면 ‘들온말’(외래어)로서 우리말이 된다. 이런 우리말의 이름을 남에서는 ‘한국어’라 하고 북에서는 ‘조선말’이라 하지만 예로부터 배달겨레의 말이란 뜻으로 ‘배달말’이라 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08
2754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882
2753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202
2752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854
2751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00
2750 스끼다시 바람의종 2008.02.16 12668
2749 아나고 바람의종 2008.02.16 7744
2748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177
2747 퉁구스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6 10712
2746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750
2745 야지 바람의종 2008.02.17 6886
2744 엑기스 바람의종 2008.02.17 7793
2743 굿 바람의종 2008.02.17 8026
2742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090
2741 오재미 바람의종 2008.02.18 8985
2740 유도리 바람의종 2008.02.18 8121
2739 유토피아 바람의종 2008.02.18 9711
2738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575
2737 남새 바람의종 2008.02.18 6715
2736 차단스 바람의종 2008.02.19 24947
2735 쿠사리 바람의종 2008.02.19 10955
2734 차이나 바람의종 2008.02.19 6829
»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3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