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7 13:20

호태왕비

조회 수 893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호태왕비

광개토대왕은 우리 역사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영토를 확장한 임금으로 알려져 있다. <삼국사기>에는 광개토왕으로 기록되어 있을 뿐 ‘대왕’이라는 기록은 없다. 그렇지만 길림성 압록강가 집안에서 광개토대왕비가 발굴됨으로써 사기의 기록을 완전하게 뒷받침하고 있다. 이 비문의 제1면 상단에는 ‘영락태왕’이라는 기록이 나오며, 제4면 하단에는 ‘국강상광개토경 호태왕’이라는 기록이 나타난다. 그래서 이 비문을 일반적으로 ‘호태왕비’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비문은, 제1면의 ‘왜이 신묘년 래도해파 백잔□□신라’(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斤羅?)라는 구절을 어떻게 해석하느냐를 두고 일본 학자와 한국 학자들 사이의 논쟁이 격화되면서 더욱 널리 알려졌다.

그런데 많은 이들은 이 비문에 고구려의 간략한 역사가 기록돼 있고, 또 고구려계 땅이름이 상당수 기록되어 있다는 사실은 주목하지 않는 듯하다. 이 비문의 내용은 고구려 시조인 추모왕에 대한 기록으로부터 영락태왕의 연도별 행적, 그리고 무덤을 만들고 지키는 원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눈여겨볼 만한 것은 비문 속에 나타나는 영락 6년에 광개토왕이 공략한 땅이름과 묘지기들을 배정하면서 거론한 땅이름이다. 그 가운데는 ‘모로’, ‘모루’, ‘구루’가 붙은 땅이름이 상당수 발견된다. 또한 압록강으로 추정되는 ‘압로’도 다섯 곳이나 발견된다. 이들은 마을을 뜻하는 우리말 어휘다. 160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음에도 호태왕이 밟고 간 땅이름은 우리말 속에 녹아들어 있는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9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5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00
3392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0683
3391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바람의종 2010.08.14 11906
3390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339
3389 홀씨 바람의종 2010.03.09 15210
3388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466
3387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261
3386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689
3385 혼성어 風文 2022.05.18 1233
3384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037
3383 혹성, 행성, 위성 바람의종 2010.07.21 11188
3382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2.09.19 8566
3381 호프 바람의종 2011.11.21 13190
»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8937
3379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752
3378 호치키스 바람의종 2010.03.06 10052
3377 호우, 집중호우 / 큰비, 장대비 바람의종 2009.07.29 8324
3376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178
3375 호스테스 바람의종 2008.02.20 11428
3374 호송 / 후송 바람의종 2010.03.06 13579
3373 호분차 온나! file 바람의종 2010.03.26 12519
3372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048
3371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4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