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6 13:58

남산 신성비

조회 수 92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남산 신성비

‘경주 남산 신성비’는 6세기 말께 경주 남산에 성을 쌓으면서 기록한 비문이다. 이 비문은 1934년 제1 비를 시작으로 모두 아홉 개가 발견됐는데, 축성과 관련된 이두문과 축성인이 적혀 있다. 이 이두문은 “신해년 2월26일 남산 신성을 지을 때, 법대로 지은 지 3년에 붕파된 것은 죄를 줄 일로 삼아 교지에 따라 맹서하는 일”로 시작된다. 축성 관련자 이름에는 직책과 출신지가 기록된다. 예컨대 ‘아량라두 사훼 음내고 대사’(阿良旅 沙喙 音內古 大舍)는 “아량촌 순시관(라두)은 사훼부의 음내고(인명) 대사(직함)”로 풀이할 수 있다. 여기서 ‘아량’은 〈삼국사기〉지리지에 나오는 ‘아시량’인데, 법흥왕 때 신라에 통합되었다. ‘아시량’은 이두식으로 풀면 ‘아래’가 되며, 우리말을 한자음으로 적은 것으로 보면 ‘아시’가 된다. ‘아시’는 ‘어시’, 곧 ‘어이’나 ‘엇’이 되니 ‘어머니’를 뜻하는 말로도 볼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 금석문을 통해 증명될 때가 많다는 점이다. 얼마 전 한 일본 학자가 독도 문제를 거론한 적이 있다. 그는 “한국 사람은 모두 독도가 한국땅이라고 알고 있다. 그렇지만 그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일본 사람은 20%만이 독도가 일본땅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20%의 일본인은 그것을 매우 논리적으로 설명한다”라고 하였다. 역사 기록과 발굴 유적을 두루 살피는 일은, 우리의 말글, 역사를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6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2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170
1852 우리 민족, 우리나라 바람의종 2009.07.08 9023
1851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019
1850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9015
1849 실버 바람의종 2010.05.05 9014
1848 진정코 바람의종 2010.02.23 9010
1847 불은 라면 바람의종 2012.08.01 9010
1846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006
1845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9004
1844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002
1843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9001
1842 우레 바람의종 2007.03.03 8999
1841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999
1840 바람의종 2012.09.12 8999
1839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03.02 8998
1838 눈발, 빗발, 화장발 바람의종 2012.09.27 8992
1837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8991
1836 넥타 바람의종 2008.02.03 8990
1835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8990
1834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8988
1833 오재미 바람의종 2008.02.18 8988
1832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8987
1831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