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5 16:18

씀바귀

조회 수 801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씀바귀

봄나물이 한창이다. 씀바귀는 ‘달래, 냉이, 씀바귀, 나물 캐 오자 ~’라는 노랫말에서도 보듯 봄에 나는 대표적인 나물이다. 농가월령가 2월령에도 “들나물 캐어 먹세. 고들빼기 씀바귀며, 소루쟁이 물쑥이라. 달래김치 냉잇국은 입맛을 돋우나니 …” 하는 구절이 나온다.

씀바귀는 잎새와 뿌리에서 나오는 하얀 즙이 쓰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다른 이름으로 ‘씸배나물/ 씬나물’, 한자말로 ‘고채’(苦菜)도 마찬가지 뜻이다. 들과 산에 흔한 씀바귀는 ‘흰씀바귀/ 꽃씀바귀/ 산씀바귀/ 모래씀바귀/ 벋음씀바귀 …’들처럼 종류도 많다. 씀바귀는 입맛을 돋우고, 춘곤증을 이겨낼 수 있으며, 봄에 씀바귀를 먹으면 여름을 타지 않는다고 한다.

예부터 내려오는 ‘나물노래’도 재미있다. “한푼두푼 돈나물, 쑥쑥뽑아 나싱개(냉이), 잡아뜯어 꽃따지, 영꾸부정 활나물, 매끈매끈 기름나물, 칭칭감아 감돌래, 이산저산 번개나물, 머리끝에 댕기나물, 뱅뱅도는 돌개나물, 말라죽기냐 고사리 ….” 아흔아홉 가지 나물노래를 부를 줄 알면 삼년 가뭄도 이겨낸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나물은 우리 조상들의 소중한 먹거리였는데, 지금은 배부른 ‘웰빙’의 방편으로나 나물을 대한다.

요즘 지구가 더워진다는 온난화 걱정을 많이 한다. 소만(小滿: 음력 4월)에야 씀바귀가 뻗어 나오고,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보리가 익는 절기라고 하였는데, 그런 걱정의 징표인지 요즘은 그보다 훨씬 일찍 씀바귀가 나오고 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씀바귀 : 학명 - Ixeris dentata 분류 - 국화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
자생지 - 산과 들
크기 높이 - 25∼50c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2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0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679
2182 진고개와 긴고개 바람의종 2008.03.20 7784
2181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84
2180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87
2179 평가하다, 때문에 바람의종 2008.11.21 7788
2178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96
2177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97
2176 만큼 바람의종 2010.05.11 7797
2175 더펄이 바람의종 2008.11.29 7798
2174 섭씨 바람의종 2007.07.23 7798
2173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99
2172 억지조어 바람의종 2011.11.11 7803
2171 부문과 부분 바람의종 2008.04.21 7804
2170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805
2169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807
2168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808
2167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809
2166 꿰매다, 시치다 바람의종 2008.11.25 7810
2165 실내체육관의 주소지 바람의종 2009.11.19 7813
2164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814
2163 암울과 우울 바람의종 2011.11.27 7814
2162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815
2161 엑기스 바람의종 2008.02.17 78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