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5 16:18

씀바귀

조회 수 793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씀바귀

봄나물이 한창이다. 씀바귀는 ‘달래, 냉이, 씀바귀, 나물 캐 오자 ~’라는 노랫말에서도 보듯 봄에 나는 대표적인 나물이다. 농가월령가 2월령에도 “들나물 캐어 먹세. 고들빼기 씀바귀며, 소루쟁이 물쑥이라. 달래김치 냉잇국은 입맛을 돋우나니 …” 하는 구절이 나온다.

씀바귀는 잎새와 뿌리에서 나오는 하얀 즙이 쓰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다른 이름으로 ‘씸배나물/ 씬나물’, 한자말로 ‘고채’(苦菜)도 마찬가지 뜻이다. 들과 산에 흔한 씀바귀는 ‘흰씀바귀/ 꽃씀바귀/ 산씀바귀/ 모래씀바귀/ 벋음씀바귀 …’들처럼 종류도 많다. 씀바귀는 입맛을 돋우고, 춘곤증을 이겨낼 수 있으며, 봄에 씀바귀를 먹으면 여름을 타지 않는다고 한다.

예부터 내려오는 ‘나물노래’도 재미있다. “한푼두푼 돈나물, 쑥쑥뽑아 나싱개(냉이), 잡아뜯어 꽃따지, 영꾸부정 활나물, 매끈매끈 기름나물, 칭칭감아 감돌래, 이산저산 번개나물, 머리끝에 댕기나물, 뱅뱅도는 돌개나물, 말라죽기냐 고사리 ….” 아흔아홉 가지 나물노래를 부를 줄 알면 삼년 가뭄도 이겨낸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나물은 우리 조상들의 소중한 먹거리였는데, 지금은 배부른 ‘웰빙’의 방편으로나 나물을 대한다.

요즘 지구가 더워진다는 온난화 걱정을 많이 한다. 소만(小滿: 음력 4월)에야 씀바귀가 뻗어 나오고,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보리가 익는 절기라고 하였는데, 그런 걱정의 징표인지 요즘은 그보다 훨씬 일찍 씀바귀가 나오고 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씀바귀 : 학명 - Ixeris dentata 분류 - 국화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
자생지 - 산과 들
크기 높이 - 25∼50c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69
2138 아니요와 아니오 바람의종 2010.04.01 11369
2137 아니오, 아니요 바람의종 2008.11.27 6221
2136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454
2135 아니예요 바람의종 2009.03.18 6752
2134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689
2133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921
2132 아니꼽다 風磬 2007.01.19 15057
2131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757
2130 아내와 부인 바람의종 2010.03.19 10600
2129 아나운서 바람의종 2009.05.30 6330
2128 아나고 바람의종 2008.02.16 7753
2127 아귀다툼 바람의종 2007.05.16 12641
2126 아구, 쭈꾸미 바람의종 2011.11.13 9938
2125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10
2124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39
2123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909
»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937
2121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847
2120 쓸개 빠진 놈 바람의종 2008.02.25 11776
2119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290
2118 쓰봉 風文 2023.11.16 1279
2117 쓰레기 분리 수거 바람의종 2008.09.02 78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