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5 16:09

귀지하다

조회 수 1001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귀지하다

‘귀지하다’는 2006년 12월에 나온 <조선말대사전> 증보판에 새로 실린 말로 ‘너절하고 지지하다’라고 풀이되어 있다. ‘지지하다’는 ‘보잘것없거나 변변치 못하다’는 뜻이므로 곧 ‘너절하고 보잘것없거나 변변치 못하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그래도 집에 남은 가족들이 이 귀지한 살림이나마 누릴수 없게 된것만 저어해서…”(조선문학 1958년 12호, 판자집마을에서)

‘귀지하다’가 어디서 온 말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귀지’가 ‘귓구멍 속에 낀 때’이므로 혹시 귀지와 관련이 있다면 참 재미있는 표현이라는 생각이 든다. 귀지가 바로 지저분하면서도 변변치 못한 것이기 때문이다.

지저분하다는 뜻을 가진 말로는 ‘게적지근하다, 구지레하다, 게저분하다, 구저분하다, 게접스럽다, 구접스럽다, 귀접스럽다, 귀중중하다, 괴죄하다, 꾀죄하다, 꾀죄죄하다, 뀌지하다’ 등이 있다. 이들 단어의 공통점은 첫글자에 ‘ㄱ’이, 둘째 글자에 ‘ㅈ’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지근하다, -레하다, -분하다, -스럽다’는 ‘어떠한 듯하다’의 뜻으로 보인다. ‘구접’은 유일하게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확인되는 명사로, ‘하는 짓이 너절하고 지저분함’을 뜻한다. 그렇다면 ‘구접’을 중심으로 ‘귀접, 게접, 게적, 구지, 구접, 귀중, 괴죄, 꾀죄, 뀌지, 귀지’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겠다. 이렇게 조금씩 모음이 바뀌어 다양한 형태로 쓰였으면서도 지저분한 느낌은 그런대로 잘 전달된다는 점에서 참 놀랍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6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2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93
2864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71
2863 존맛 風文 2023.06.28 1805
2862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572
2861 조카 바람의종 2007.03.26 11221
2860 조종, 조정 바람의종 2010.04.17 10983
2859 조족지혈 바람의종 2007.12.21 12608
2858 조조할인 바람의종 2010.08.17 16413
2857 조장 바람의종 2007.08.18 7262
2856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534
285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439
2854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814
2853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635
2852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807
2851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94
2850 조사 ‘밖에’ 뒤엔 부정하는 말 바람의종 2009.11.24 9712
2849 조바심하다 바람의종 2007.03.24 6801
2848 조리다와 졸이다 바람의종 2010.10.04 10603
2847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496
2846 조그만한, 자그만한 바람의종 2010.03.26 10917
2845 조개껍질 바람의종 2010.07.23 10505
2844 조개 바람의종 2013.02.05 19925
2843 조강지처 바람의종 2007.12.21 104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