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5 16:09

귀지하다

조회 수 994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귀지하다

‘귀지하다’는 2006년 12월에 나온 <조선말대사전> 증보판에 새로 실린 말로 ‘너절하고 지지하다’라고 풀이되어 있다. ‘지지하다’는 ‘보잘것없거나 변변치 못하다’는 뜻이므로 곧 ‘너절하고 보잘것없거나 변변치 못하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그래도 집에 남은 가족들이 이 귀지한 살림이나마 누릴수 없게 된것만 저어해서…”(조선문학 1958년 12호, 판자집마을에서)

‘귀지하다’가 어디서 온 말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귀지’가 ‘귓구멍 속에 낀 때’이므로 혹시 귀지와 관련이 있다면 참 재미있는 표현이라는 생각이 든다. 귀지가 바로 지저분하면서도 변변치 못한 것이기 때문이다.

지저분하다는 뜻을 가진 말로는 ‘게적지근하다, 구지레하다, 게저분하다, 구저분하다, 게접스럽다, 구접스럽다, 귀접스럽다, 귀중중하다, 괴죄하다, 꾀죄하다, 꾀죄죄하다, 뀌지하다’ 등이 있다. 이들 단어의 공통점은 첫글자에 ‘ㄱ’이, 둘째 글자에 ‘ㅈ’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지근하다, -레하다, -분하다, -스럽다’는 ‘어떠한 듯하다’의 뜻으로 보인다. ‘구접’은 유일하게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확인되는 명사로, ‘하는 짓이 너절하고 지저분함’을 뜻한다. 그렇다면 ‘구접’을 중심으로 ‘귀접, 게접, 게적, 구지, 구접, 귀중, 괴죄, 꾀죄, 뀌지, 귀지’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겠다. 이렇게 조금씩 모음이 바뀌어 다양한 형태로 쓰였으면서도 지저분한 느낌은 그런대로 잘 전달된다는 점에서 참 놀랍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4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0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91
2864 빼았기다 / 빼앗기다 바람의종 2011.11.15 12010
2863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1999
2862 맞장구 치다 바람의종 2008.01.07 11999
2861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바람의종 2010.08.14 11995
2860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1984
2859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82
2858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79
2857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979
2856 난이도, 난도 바람의종 2009.06.29 11975
2855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73
2854 황소바람 바람의종 2010.09.04 11969
2853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1964
2852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62
2851 뇌졸중 / 뇌졸증 바람의종 2012.08.13 11940
2850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924
2849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908
2848 회피 / 기피 바람의종 2012.07.05 11902
2847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896
2846 좋은 아침! 바람의종 2008.03.27 11894
2845 노일전쟁 바람의종 2010.06.19 11891
2844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890
2843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