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4 14:18

극동 언어들

조회 수 814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극동 언어들

어느 말겨레에도 들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유럽의 바스크말처럼 극동아시아에도 그런 언어들이 여럿 있다. 길랴크말, 유카기르말, 축치말이 그렇다. 이들을 묶어 옛아시아 말겨레라 하기도 하지만, 이는 편의상 붙인 이름이다.

길랴크말은 아무르강 하류지방과 사할린 북부지방에 걸쳐 쓰이는데, 이천 명 정도가 쓴다. 이 말은 우리말의 기원과 관련하여 관심을 끌고 있지만, 아직 분명히 밝혀진 사실은 없다. 다만 아주 옛날 우리말이 형성될 때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칼, 도끼, 길다’와 같은 낱말은 우리말과 같다. 그런데 이 말의 수사는 꽤 흥미롭다. 6은 5+1이며, 7은 5+2이다. 8은 4의 두 배라 표현하여 8에 해당하는 mink는 mi(4)+nak(곱)에서 나왔다. 또다른 예로 보트를 셀 때, 보트가 한 척이면 nim, 두 척이면 mim, 세 척이면 tem, 네 척이면 nem, 다섯 척이면 tom이라 하여 보트를 셀 때 고유한 수사가 쓰인다.

유카기르말과 축치말도 극동지역에서 쓰이는데, 길랴크말과 구조가 비슷한 점도 있지만, 같은 말겨레인지 따지기는 어렵다. 유카기르말은 겨우 삼백 명이 쓰고 있으며, 축치말은 만여 명이 쓰고 있다. 축치말은 초등학교에서 교육도 하고 책도 발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세 언어들은 모두 러시아말로 대체되어 현재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일본 북해도에 아이누말이 있다. 일본말 문법과 비슷한 점이 있으나, 어느 말겨레에 드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8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3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17
1390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50
1389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605
1388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53
1387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89
1386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97
1385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314
1384 시말서, 회람 바람의종 2011.11.25 10666
1383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97
1382 시세 조종 바람의종 2008.04.15 5510
1381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77
1380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899
1379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19
1378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63
1377 시치미를 떼다 1 바람의종 2010.11.16 15496
1376 시치미를 떼다 바람의종 2008.01.18 10703
1375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50
1374 시험, 실험 바람의종 2010.08.14 10847
1373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96
1372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59
1371 신문과 심문 바람의종 2010.08.14 11582
1370 신물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18 17516
1369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