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4 14:18

극동 언어들

조회 수 803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극동 언어들

어느 말겨레에도 들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유럽의 바스크말처럼 극동아시아에도 그런 언어들이 여럿 있다. 길랴크말, 유카기르말, 축치말이 그렇다. 이들을 묶어 옛아시아 말겨레라 하기도 하지만, 이는 편의상 붙인 이름이다.

길랴크말은 아무르강 하류지방과 사할린 북부지방에 걸쳐 쓰이는데, 이천 명 정도가 쓴다. 이 말은 우리말의 기원과 관련하여 관심을 끌고 있지만, 아직 분명히 밝혀진 사실은 없다. 다만 아주 옛날 우리말이 형성될 때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칼, 도끼, 길다’와 같은 낱말은 우리말과 같다. 그런데 이 말의 수사는 꽤 흥미롭다. 6은 5+1이며, 7은 5+2이다. 8은 4의 두 배라 표현하여 8에 해당하는 mink는 mi(4)+nak(곱)에서 나왔다. 또다른 예로 보트를 셀 때, 보트가 한 척이면 nim, 두 척이면 mim, 세 척이면 tem, 네 척이면 nem, 다섯 척이면 tom이라 하여 보트를 셀 때 고유한 수사가 쓰인다.

유카기르말과 축치말도 극동지역에서 쓰이는데, 길랴크말과 구조가 비슷한 점도 있지만, 같은 말겨레인지 따지기는 어렵다. 유카기르말은 겨우 삼백 명이 쓰고 있으며, 축치말은 만여 명이 쓰고 있다. 축치말은 초등학교에서 교육도 하고 책도 발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세 언어들은 모두 러시아말로 대체되어 현재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일본 북해도에 아이누말이 있다. 일본말 문법과 비슷한 점이 있으나, 어느 말겨레에 드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3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360
3260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303
3259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304
3258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305
3257 순직 風文 2022.02.01 1306
3256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07
3255 김 여사 風文 2023.05.31 1310
3254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311
3253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311
3252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312
3251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313
3250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14
3249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314
3248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314
3247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317
3246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318
3245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320
3244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320
3243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322
3242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323
3241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323
3240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324
3239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