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4 14:17

두만강과 여진어

조회 수 844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만강과 여진어

언어 접촉은 땅이름에도 그 흔적을 남긴다. 일본의 ‘고마현’이 백제의 ‘웅진’과 관련이 있듯이, ‘두만강’도 여진어의 잔재임은 널리 알려져 있다.〈용비어천가〉에는 ‘두만강’을 풀이하면서, “여진의 속어로 만(萬)을 두만(豆漫)이라 부른다”는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여진어 모습을 담고 있는 땅이름은 꽤 여러 가지다. 이기문 교수는 〈세종실록지리지〉를 고찰하면서, 함북 종성의 유래를 살핀 바 있다. 지리지 기록에 “호인(여진)들은 종을 일컬어 동건(童巾)이라 했는데, 부내에 동건산이 있어 그로부터 종성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했다. 또한 “동건산은 종성부 북쪽에 있는데, 종을 엎어놓은 형상으로 그 위에는 돌로 쌓은 성이 있고, 성안에는 연못이 있다”고 풀이했다.

‘동건’은 때로 ‘동관’(潼關)으로 적을 때도 있는데, 여진어로는 ‘퉁건’이다. 그런데 ‘퉁건’은 본디 ‘북’을 뜻하는 말이었다. 이에 해당하는 우리말은 ‘쇠붑’이다. 곧 ‘북’을 뜻하는 ‘동건’이 ‘종’으로 옮겨지면서 ‘종성’이라는 땅이름을 남겼는데, 이는 ‘북’과 ‘종’을 뒤섞어 쓰는 풍습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밖에 여진어의 땅이름으로 경성의 다른 이름인 ‘우롱이’ 또는 ‘목랑고’, 마천령의 옛날 이름인 ‘이판대령’ 등도 있다. 야인이 ‘소’를 ‘이판’이라 불렀다는 기록이나 여진어에서 ‘거울’을 뜻하는 ‘무러구’란 말이 있었던 것을 보면, 비록 겨레는 흩어지고 문화는 흐려졌을지라도 언어의 흔적은 끊임없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10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74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2547
1628 살림 風磬 2006.12.26 6198
1627 살망졍이 바람의종 2009.07.26 6511
1626 살사리꽃 바람의종 2009.09.07 7065
1625 살아 진천 죽어 용인 바람의종 2008.01.15 16365
1624 살얼음 / 박빙 바람의종 2010.10.30 10193
1623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322
1622 살짝궁, 살짜궁 / 살짝이, 살짜기 바람의종 2010.12.19 11127
1621 살찌다, 살지다 바람의종 2010.04.07 9953
1620 살처분 바람의종 2010.10.30 7334
1619 살코기 바람의종 2009.10.08 7563
1618 살쾡이 file 바람의종 2009.07.15 6090
1617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7958
1616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281
1615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39
1614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086
1613 삼박하다 風磬 2006.12.26 13500
1612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093
1611 삼삼하다 風磬 2006.12.29 11069
1610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60
1609 삼수갑산을 가다 바람의종 2008.01.16 8554
1608 삼십육계 줄행랑 바람의종 2008.01.16 12283
1607 삼우제 바람의종 2007.07.20 106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