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4 14:17

두만강과 여진어

조회 수 871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만강과 여진어

언어 접촉은 땅이름에도 그 흔적을 남긴다. 일본의 ‘고마현’이 백제의 ‘웅진’과 관련이 있듯이, ‘두만강’도 여진어의 잔재임은 널리 알려져 있다.〈용비어천가〉에는 ‘두만강’을 풀이하면서, “여진의 속어로 만(萬)을 두만(豆漫)이라 부른다”는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여진어 모습을 담고 있는 땅이름은 꽤 여러 가지다. 이기문 교수는 〈세종실록지리지〉를 고찰하면서, 함북 종성의 유래를 살핀 바 있다. 지리지 기록에 “호인(여진)들은 종을 일컬어 동건(童巾)이라 했는데, 부내에 동건산이 있어 그로부터 종성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했다. 또한 “동건산은 종성부 북쪽에 있는데, 종을 엎어놓은 형상으로 그 위에는 돌로 쌓은 성이 있고, 성안에는 연못이 있다”고 풀이했다.

‘동건’은 때로 ‘동관’(潼關)으로 적을 때도 있는데, 여진어로는 ‘퉁건’이다. 그런데 ‘퉁건’은 본디 ‘북’을 뜻하는 말이었다. 이에 해당하는 우리말은 ‘쇠붑’이다. 곧 ‘북’을 뜻하는 ‘동건’이 ‘종’으로 옮겨지면서 ‘종성’이라는 땅이름을 남겼는데, 이는 ‘북’과 ‘종’을 뒤섞어 쓰는 풍습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밖에 여진어의 땅이름으로 경성의 다른 이름인 ‘우롱이’ 또는 ‘목랑고’, 마천령의 옛날 이름인 ‘이판대령’ 등도 있다. 야인이 ‘소’를 ‘이판’이라 불렀다는 기록이나 여진어에서 ‘거울’을 뜻하는 ‘무러구’란 말이 있었던 것을 보면, 비록 겨레는 흩어지고 문화는 흐려졌을지라도 언어의 흔적은 끊임없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32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8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712
1830 단음절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2.05 8517
1829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25
1828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528
1827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28
1826 ‘-빼기’가 붙는 말 바람의종 2010.01.18 8530
1825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532
1824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34
1823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38
1822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43
1821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43
1820 단골집 風磬 2006.11.06 8546
1819 연패(連敗) / 연패(連覇) 바람의종 2010.03.12 8547
1818 담다 / 담그다 바람의종 2012.03.02 8549
1817 노동1호 바람의종 2007.06.11 8549
1816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50
1815 바람의종 2007.03.31 8556
1814 X세대 바람의종 2008.02.20 8556
1813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56
1812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561
1811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563
1810 여부(與否) 바람의종 2010.01.20 8563
1809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