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3 11:45

광대수염

조회 수 8695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광대수염

탈놀이·줄타기·땅재주·판소리 등 연예를 하는 예능인을 통틀어 이르던 우리말에 ‘광대’가 있다. 요즘은 재주가 많은 연예인들이 대접받는 시대지만, 직업에서 귀천의식이 드셌던 옛날에 광대는 천한 존재로 여겼다.

동식물에 광대라는 말이 붙으면서도 이런 의식이 작용해서 그 실체도 대체로 울긋불긋하거나 우스꽝스런 모습을 보인다. 동물에는 ‘광대노린재/ 광대박쥐/ 광대파리/ 광대하늘소 …’들이 있고, 식물이름에서는 ‘광대나물/ 광대싸리/ 광대버섯 …’들이 있다.

‘광대수염’은 꽃잎의 알록달록한 점이 광대를, 꽃받침의 가장자리에 뾰족한 가시가 수염을 연상시켜서 붙은 이름이다. 그런데 점도 아름답거나 우아하지 않고, 수염이라고 떠올린 부분도 삐죽삐죽하여 점잖은 모습이 아니다. 북녘말로는 ‘꽃수염풀’이다. 사람 모습이나 신분에서 따온 풀꽃이름으로는 이 밖에도 ‘양반풀/ 각시꽃/ 기생초/ 할미꽃/ 처녀치마/ 선녀고사리/ 미치광이풀/ 바보여뀌 …’들이 있다.

우리는 어린순을 나물로 먹기도 하는데, 영국 방송 〈비비시〉(BBC)가 만든 ‘식물의 사생활’을 보면, 광대수염은 가시에 침과 독물이 있는 유럽쐐기풀과 비슷한데, 동물들은 먹지 않는다고 하니 그 생존본능도 신기하다.

영화 ‘왕의 남자’에서 광대의 삶을 새롭게 보고, 진심으로 예인으로 인정하는 시각을 갖게 되었다. 얼룩덜룩하고 우스우면서도 가끔씩 슬프기도 한 삶에서 누군들 광대 아닌 사람이 있으랴!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광대수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0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5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469
202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537
201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536
2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534
199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533
198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529
197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529
196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528
195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527
194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26
193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524
192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522
191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520
190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519
189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518
188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16
187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515
186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513
185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511
184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507
183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505
182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504
181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5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