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2 09:58

물어름

조회 수 8437 추천 수 3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어름

‘물어름’은 ‘갈라져 흐르던 강과 강, 내와 내가 합쳐지는 곳’을 말한다.

“만경대초가집 앞으로는 순화강이 대동강과 합치는 물어름이 보이고 뒤로는 청청한 소나무숲이 우거졌다.” 〈조선말대사전〉

물어름은 남북이 모두 쓰는 ‘어름’과 물이 결합하여 물과 관련된 말로 뜻이 한정된 것이다. 어름은 ‘무엇이 맞닿은 자리’를 말하는데 정확한 어느 지점이라기보다는 맞닿은 자리 근처를 대강 일컫는다. 어름이 시간과 쓰이면 ‘무렵’의 뜻으로 쓰이고, 무엇이 맞닿은 곳이 아닌 장소에 쓰이면 ‘근처’의 뜻으로도 쓰인다. 남녘말 ‘장터어름’은 ‘장이 서는 넓은 터 부근’을 말한다.

“눈두덩이와 광대뼈 어름에 시커먼 멍이 들었다.” 〈표준국어대사전〉
“한길에서 공장 신축장으로 들어가는 어름에 생긴 포장마차가 둘 있었다.” 〈황순원·신들의 주사위〉
“등교 때나 퇴교 때 같으면 규율부가 나와 있어 연락이 가능했지만 목요일의 오후 세 시 어름은 그러기에도 어중간한 시간이었다.” 〈이문열·변경〉

강과 강이 합쳐지는 곳이라면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양수리(兩水里)를 떠올릴 수 있다. 이곳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쳐지는 곳이다. 그런데 ‘양수’는 물어름의 뜻으로 쓰이지 않고, ‘합수’(合水)를 쓴다. 남부 지역에 ‘합수’로 불리는 골짜기·마을·내 등이 여러 곳 있는데, 모두 물어름에 해당하는 곳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2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8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743
1544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25
1543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24
1542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23
1541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22
1540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19
1539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18
1538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316
1537 마개와 뚜껑 바람의종 2008.02.04 8315
1536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15
1535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314
1534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313
1533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12
1532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299
1531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294
1530 북녘의 경제 용어 바람의종 2010.02.25 8291
1529 연출했다 바람의종 2010.04.27 8289
1528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288
1527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285
1526 당신은 누구시길래 바람의종 2008.09.24 8285
1525 좋게 말하기 바람의종 2008.06.12 8284
1524 떡해먹을 집안이다 바람의종 2008.01.04 8284
1523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2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