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2 09:58

물어름

조회 수 8302 추천 수 3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어름

‘물어름’은 ‘갈라져 흐르던 강과 강, 내와 내가 합쳐지는 곳’을 말한다.

“만경대초가집 앞으로는 순화강이 대동강과 합치는 물어름이 보이고 뒤로는 청청한 소나무숲이 우거졌다.” 〈조선말대사전〉

물어름은 남북이 모두 쓰는 ‘어름’과 물이 결합하여 물과 관련된 말로 뜻이 한정된 것이다. 어름은 ‘무엇이 맞닿은 자리’를 말하는데 정확한 어느 지점이라기보다는 맞닿은 자리 근처를 대강 일컫는다. 어름이 시간과 쓰이면 ‘무렵’의 뜻으로 쓰이고, 무엇이 맞닿은 곳이 아닌 장소에 쓰이면 ‘근처’의 뜻으로도 쓰인다. 남녘말 ‘장터어름’은 ‘장이 서는 넓은 터 부근’을 말한다.

“눈두덩이와 광대뼈 어름에 시커먼 멍이 들었다.” 〈표준국어대사전〉
“한길에서 공장 신축장으로 들어가는 어름에 생긴 포장마차가 둘 있었다.” 〈황순원·신들의 주사위〉
“등교 때나 퇴교 때 같으면 규율부가 나와 있어 연락이 가능했지만 목요일의 오후 세 시 어름은 그러기에도 어중간한 시간이었다.” 〈이문열·변경〉

강과 강이 합쳐지는 곳이라면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양수리(兩水里)를 떠올릴 수 있다. 이곳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쳐지는 곳이다. 그런데 ‘양수’는 물어름의 뜻으로 쓰이지 않고, ‘합수’(合水)를 쓴다. 남부 지역에 ‘합수’로 불리는 골짜기·마을·내 등이 여러 곳 있는데, 모두 물어름에 해당하는 곳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8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392
2028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295
2027 배워 주다 바람의종 2010.01.23 11273
2026 움추리다 / 움츠리다, 오무리다 / 오므리다, 수구리다 / 수그리다 바람의종 2010.01.23 15366
2025 핫어미와 핫아비 바람의종 2010.01.23 11678
2024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598
2023 -씩 바람의종 2010.01.23 9258
2022 봇물을 이루다 바람의종 2010.01.22 12068
2021 그만한 / 그만 한, 한걸음 / 한 걸음, 그만해야지 / 그만 해야지 바람의종 2010.01.22 11230
2020 그러잖아도는 동작, 그렇잖아도는 상태 바람의종 2010.01.22 10690
2019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482
2018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860
2017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369
2016 천만에 말씀 바람의종 2010.01.20 9657
2015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331
2014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30
2013 여부(與否) 바람의종 2010.01.20 8526
2012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35
2011 말 비틀기(2) 바람의종 2010.01.20 8774
2010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158
2009 '대'와 '선' 바람의종 2010.01.19 6461
2008 까지,조차,마저 바람의종 2010.01.19 7463
2007 잇따르다와 잇달다 바람의종 2010.01.19 94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