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2 09:58

물어름

조회 수 8325 추천 수 3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어름

‘물어름’은 ‘갈라져 흐르던 강과 강, 내와 내가 합쳐지는 곳’을 말한다.

“만경대초가집 앞으로는 순화강이 대동강과 합치는 물어름이 보이고 뒤로는 청청한 소나무숲이 우거졌다.” 〈조선말대사전〉

물어름은 남북이 모두 쓰는 ‘어름’과 물이 결합하여 물과 관련된 말로 뜻이 한정된 것이다. 어름은 ‘무엇이 맞닿은 자리’를 말하는데 정확한 어느 지점이라기보다는 맞닿은 자리 근처를 대강 일컫는다. 어름이 시간과 쓰이면 ‘무렵’의 뜻으로 쓰이고, 무엇이 맞닿은 곳이 아닌 장소에 쓰이면 ‘근처’의 뜻으로도 쓰인다. 남녘말 ‘장터어름’은 ‘장이 서는 넓은 터 부근’을 말한다.

“눈두덩이와 광대뼈 어름에 시커먼 멍이 들었다.” 〈표준국어대사전〉
“한길에서 공장 신축장으로 들어가는 어름에 생긴 포장마차가 둘 있었다.” 〈황순원·신들의 주사위〉
“등교 때나 퇴교 때 같으면 규율부가 나와 있어 연락이 가능했지만 목요일의 오후 세 시 어름은 그러기에도 어중간한 시간이었다.” 〈이문열·변경〉

강과 강이 합쳐지는 곳이라면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양수리(兩水里)를 떠올릴 수 있다. 이곳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쳐지는 곳이다. 그런데 ‘양수’는 물어름의 뜻으로 쓰이지 않고, ‘합수’(合水)를 쓴다. 남부 지역에 ‘합수’로 불리는 골짜기·마을·내 등이 여러 곳 있는데, 모두 물어름에 해당하는 곳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8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2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00
2028 참말 바람의종 2009.09.01 9413
2027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410
2026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401
2025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01
2024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398
2023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394
2022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391
2021 대장금②·신비 바람의종 2008.05.25 9389
2020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385
2019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376
2018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372
2017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370
2016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0.03.07 9368
2015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367
2014 주워섬기다 바람의종 2012.06.20 9366
2013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363
2012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60
2011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58
2010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353
2009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51
2008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43
2007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