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2 09:58

물어름

조회 수 8423 추천 수 3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어름

‘물어름’은 ‘갈라져 흐르던 강과 강, 내와 내가 합쳐지는 곳’을 말한다.

“만경대초가집 앞으로는 순화강이 대동강과 합치는 물어름이 보이고 뒤로는 청청한 소나무숲이 우거졌다.” 〈조선말대사전〉

물어름은 남북이 모두 쓰는 ‘어름’과 물이 결합하여 물과 관련된 말로 뜻이 한정된 것이다. 어름은 ‘무엇이 맞닿은 자리’를 말하는데 정확한 어느 지점이라기보다는 맞닿은 자리 근처를 대강 일컫는다. 어름이 시간과 쓰이면 ‘무렵’의 뜻으로 쓰이고, 무엇이 맞닿은 곳이 아닌 장소에 쓰이면 ‘근처’의 뜻으로도 쓰인다. 남녘말 ‘장터어름’은 ‘장이 서는 넓은 터 부근’을 말한다.

“눈두덩이와 광대뼈 어름에 시커먼 멍이 들었다.” 〈표준국어대사전〉
“한길에서 공장 신축장으로 들어가는 어름에 생긴 포장마차가 둘 있었다.” 〈황순원·신들의 주사위〉
“등교 때나 퇴교 때 같으면 규율부가 나와 있어 연락이 가능했지만 목요일의 오후 세 시 어름은 그러기에도 어중간한 시간이었다.” 〈이문열·변경〉

강과 강이 합쳐지는 곳이라면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양수리(兩水里)를 떠올릴 수 있다. 이곳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쳐지는 곳이다. 그런데 ‘양수’는 물어름의 뜻으로 쓰이지 않고, ‘합수’(合水)를 쓴다. 남부 지역에 ‘합수’로 불리는 골짜기·마을·내 등이 여러 곳 있는데, 모두 물어름에 해당하는 곳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98
1896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21
1895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22
1894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22
1893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24
1892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25
1891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327
1890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30
1889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331
1888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38
1887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339
1886 ~는가 알아보다 바람의종 2009.09.27 8340
1885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53
1884 마누라 風磬 2006.11.26 8360
1883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67
1882 현수막, 횡단막 바람의종 2008.08.08 8370
1881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80
1880 일본식 용어 - 가 바람의종 2008.03.01 8383
1879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바람의종 2009.06.11 8385
1878 커브길 바람의종 2010.01.19 8388
1877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388
1876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388
1875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22 83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