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2 09:55

백두산

조회 수 818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백두산

땅이름이나 사람 이름 가운데는 서로 다른 이름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같은 뜻을 갖고 있는 이름이 많다. 백제를 건국한 온조는 아버지 주몽왕이 북부여에서 낳은 유리를 태자로 삼자 형인 비류와 함께 남으로 내려와 나라를 세웠는데, 그 이름이 ‘십제’(十濟)였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나오는 이 기록에서 우리는 ‘온조’(溫祚), ‘십제’, ‘백제’(百濟)라는 사람 이름과 나라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세 이름은 같은 대상을 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자어 ‘백’(百)에 해당하는 우리말로 ‘온’이 있으며, ‘십’(十)에 해당하는 말은 ‘열’이기 때문이다. 곧 ‘백제’와 ‘십제’는 ‘온제’와 ‘열제’에 해당하는 한자말이다. 다만 ‘온’과 ‘열’이 어떤 관계에 있을지에서는 확실한 답을 구하기 어렵다. 그러나 삼국시대의 국어 모음에서는 ‘오’와 ‘여’가 비슷한 음으로 소리 났을 수도 있다.

백두산의 다른 이름인 ‘개마산’(蓋馬山)이나 ‘불함산’(不咸山)도 마찬가지로 볼 수 있다. 최남선은 ‘불함’이 ‘밝음’을 뜻하는 우리말이라고 풀이한 바 있는데, ‘밝음’이나 ‘흰색’은 의미상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황윤석의 〈화동방언자의해〉에서 ‘개’는 ‘희’의 음이 변화한 것이며, ‘마’는 ‘마리’, 곧 한자어 두(頭)와 같은 뜻이라는 해석은 ‘개마산’과 ‘백두산’이 같은 뜻의 말임을 증명한다. 고려 때까지의 문헌에서는 보이지 않던 ‘장백산’이라는 이름이 후대에 나타난 것을 보더라도 백두산은 우리의 고유 명산이었음이 틀림없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9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4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383
202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289
201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288
200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286
199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85
198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283
197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283
196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281
195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280
194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78
193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276
192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75
191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274
190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274
189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272
188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272
187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71
186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71
185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269
184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267
183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266
182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266
181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2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