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1 10:02

패랭이꽃

조회 수 909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패랭이꽃

‘패랭이꽃’은 길가 풀밭이나 냇가 모래땅, 묏자리 근처 등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데, 꽃을 뒤집으면 옛날에 역졸, 부보상들이 쓰던 패랭이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한자어로는 석죽(石竹)이라고 하는데, 이는 바위틈 같은 메마른 곳에서도 잘 자라고, 대나무처럼 줄기에 마디가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패랭이꽃은 우리나라가 원산지여서 자라는 곳이나 모양에 따라 이름도 많다. 바닷가에 자라는 ‘갯패랭이꽃’, 구름이 떠 있는 높은 산에서 자라는 ‘구름패랭이꽃’, 백두산에서 자라는 키가 작은 ‘난장이패랭이꽃’, 울릉도에서 자라는 ‘섬패랭이꽃’, 꽃잎이 붉은 ‘각시패랭이꽃’, 꽃잎이 술처럼 잘게 갈라진 ‘술패랭이꽃’, 꽃받침을 둘러싼 부분이 수염처럼 생긴 ‘수염패랭이꽃’ 들이 있다.

‘패랭이꽃’ 이름에서는 거추장스럽거나 거들먹거리지 않는 실용적인 모자를 쓰고, 바지런하게 생활하던 옛사람의 일상을 느낄 수 있다. 이처럼 옛날 우리의 생활 모습을 찾아볼 수 있는 풀꽃이름으로는 ‘달구지풀/ 작두콩/ 병풍나물/ 삿갓나물/ 요강나물/ 족두리풀/ 비녀골풀/ 투구꽃/ 갈퀴나물 …’ 들이 있다.

화려하지 않고 평범하며, 귀하지 않고 뽐내지 않아 친근함을 느껴서 그런지 소박한 삶과 마음을 패랭이꽃과 함께 쓴 글이 많다. ‘삶이란 것은/ 자꾸만 눈에 밟히는 패랭이꽃’이라는 류시화의 최근 시(패랭이꽃)를 되뇌어본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패랭이꽃]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78
1786 동서남북 순서 바람의종 2010.03.03 8878
1785 곤조 바람의종 2008.02.02 8878
1784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8872
1783 굳은 살이 - 박혔다, 박였다, 배겼다 바람의종 2009.07.28 8872
1782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8871
1781 엘레지, 사리 바람의종 2012.06.26 8870
1780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68
1779 별내와 비달홀 바람의종 2008.02.01 8867
1778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67
1777 로또 복권 바람의종 2008.03.31 8866
1776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64
1775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862
1774 두문불출 바람의종 2007.11.01 8862
1773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8861
1772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60
1771 무릎노리 바람의종 2008.02.01 8853
1770 하늘말라리아? 바람의종 2008.04.27 8848
1769 '꾀임'에 당하다 바람의종 2011.11.28 8848
1768 도사리 바람의종 2010.06.20 8847
1767 돈까스 바람의종 2008.02.05 8845
1766 표식(?), 횡경막(?) 바람의종 2008.06.28 8841
1765 옥쌀·강낭쌀 바람의종 2008.06.18 88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