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0 09:28

우랄 말겨레

조회 수 903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랄 말겨레

알타이 말겨레만큼이나 우리에게 익숙한 말겨레가 바로 우랄 말겨레다. 전날 우리말 계통을 말할 때 흔히 우랄-알타이 말겨레라고 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랄 말겨레와 알타이 말겨레는 문법 구조가 비슷하기는 하지만 계통적으로는 서로 다른 말겨레다.

우랄 말겨레에 드는 대표적인 말은 핀란드말과 헝가리말이다. 핀란드 겨레는 먼 옛날 남부 우랄 지역에서 서북쪽으로 이동하여 발트해를 건너 지금의 핀란드에 정착한 것으로 본다. 핀란드말을 스스로는 ‘수오미말’이라 한다. 스웨덴말이나 러시아말에서 문화어를 빌려쓰기도 하였지만, 비교적 순수한 우랄말의 특징을 지키고 있다. 19세기 초까지 핀란드에서는 스웨덴어가 공식어로 쓰이다가, 1835년 민족 서사시 ‘칼레발라’ 출간을 계기로 핀란드말이 널리 쓰여 1863년 공식어로 인정되었다. 핀라드말은 격체계가 열다섯이나 되며, 단수-복수 구별은 있으나 남성-여성 구별은 없다. 문장의 기본 어순은 주어+목적어+서술어지만 자유롭게 찰례가 바뀔 수 있다.

헝가리말은 ‘마자르말’이라고도 하는데, 우랄 말겨레 가운데 가장 널리 쓰이는 말이다. 대략 일천육백만이 쓴다. 헝가리 겨레가 헝가리에 들어온 것은 9세기 말로 알려졌다. 헝가리말은 주변 다른 말의 영향을 많이 받으면서 변해 왔지만, 핀란드말처럼 다양한 격체계를 지니고 있다.

한편, 북부 시베리아 지역에도 우랄 말겨레에 드는 언어가 쓰이는데 ‘사모예드말’이다. 사용 인구가 매우 적은 편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402
1764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913
1763 나의 살던 고향은 바람의종 2009.07.07 8911
1762 곤조 바람의종 2008.02.02 8903
1761 폭염 바람의종 2012.07.05 8899
1760 단추를 꿰매다 바람의종 2011.12.26 8896
1759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895
1758 옥쌀·강낭쌀 바람의종 2008.06.18 8894
1757 무동태우다 바람의종 2007.05.09 8893
1756 엘레지, 사리 바람의종 2012.06.26 8893
1755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888
1754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85
1753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85
1752 로또 복권 바람의종 2008.03.31 8884
1751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881
1750 억수 風磬 2007.01.19 8873
1749 돈까스 바람의종 2008.02.05 8870
1748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865
1747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863
1746 도사리 바람의종 2010.06.20 8861
1745 겨울올림픽 바람의종 2011.11.15 8859
1744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58
1743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8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