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0 09:25

‘모라’와 마을

조회 수 786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라’와 마을


1988년 4월 중순에 발견된 울진군 봉평리의 비문은 한자를 빌려서 우리말을 적은(차자 표기) 사례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큰 흥분을 가져다준 비문이다. 이 빗글에 대해서는 남풍현 교수가 비교적 자세히 연구를 한 적이 있는데, 땅이름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흥미로운 자료가 담겨 있다. 왜냐하면 비를 세운 사람으로 ‘거벌모라’의 ‘이지파 하간지’와 ‘신일지 일척’이라는 기록이 나오기 때문이다.

‘모라’는 마을의 어원에 해당한다. <양서> 신라전에 “신라인들은 성을 건모라라고 한다”라는 기록이나, <삼국사기>의 ‘모루성’(충남 서천이나 예산으로 추정)에 들어 있는 ‘모라’와 ‘모루’는 모두 큰 마을인 성을 뜻한다.

그런데 ‘모라’를 ‘산’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왜냐하면 ‘모라’ 또한  ‘의 변이형인 ‘마루’, ‘머리’와 같은 계통의 낱말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가 ‘산’과 ‘머리’를 뜻하는 동음이의어였다고 한 바 있다. 이 견해를 따르면 ‘검은모루’는 ‘검은산’이란 뜻이 된다.

그러나 전국 곳곳에서 발견되는 ‘돌모루’는 ‘산’보다는 ‘모퉁이’나 ‘벼랑’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땅이름은 대체로 한자말 ‘석우’(石隅)로 바뀐다. 이를 고려한다면, ‘‘’와 ‘모루’, ‘모라’는 별개의 낱말로 보인다. 이처럼 비문에서도 땅이름의 어원을 밝히는 말을 찾아낼 수 있음은 기쁜 일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6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694
202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198
201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197
200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195
199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195
198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195
197 ○○노조 風文 2022.12.26 1193
196 김 여사 風文 2023.05.31 1193
195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192
194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191
193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190
192 옹알이 風文 2021.09.03 1189
191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188
190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188
189 까치발 風文 2023.11.20 1187
188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182
187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182
186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181
185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179
184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178
183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177
182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175
181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1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