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0 09:25

‘모라’와 마을

조회 수 787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라’와 마을


1988년 4월 중순에 발견된 울진군 봉평리의 비문은 한자를 빌려서 우리말을 적은(차자 표기) 사례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큰 흥분을 가져다준 비문이다. 이 빗글에 대해서는 남풍현 교수가 비교적 자세히 연구를 한 적이 있는데, 땅이름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흥미로운 자료가 담겨 있다. 왜냐하면 비를 세운 사람으로 ‘거벌모라’의 ‘이지파 하간지’와 ‘신일지 일척’이라는 기록이 나오기 때문이다.

‘모라’는 마을의 어원에 해당한다. <양서> 신라전에 “신라인들은 성을 건모라라고 한다”라는 기록이나, <삼국사기>의 ‘모루성’(충남 서천이나 예산으로 추정)에 들어 있는 ‘모라’와 ‘모루’는 모두 큰 마을인 성을 뜻한다.

그런데 ‘모라’를 ‘산’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왜냐하면 ‘모라’ 또한  ‘의 변이형인 ‘마루’, ‘머리’와 같은 계통의 낱말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가 ‘산’과 ‘머리’를 뜻하는 동음이의어였다고 한 바 있다. 이 견해를 따르면 ‘검은모루’는 ‘검은산’이란 뜻이 된다.

그러나 전국 곳곳에서 발견되는 ‘돌모루’는 ‘산’보다는 ‘모퉁이’나 ‘벼랑’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땅이름은 대체로 한자말 ‘석우’(石隅)로 바뀐다. 이를 고려한다면, ‘‘’와 ‘모루’, ‘모라’는 별개의 낱말로 보인다. 이처럼 비문에서도 땅이름의 어원을 밝히는 말을 찾아낼 수 있음은 기쁜 일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8106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4530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9474
    read more
  4. ‘도와센터’ ‘몰던카’

    Date2024.01.16 By風文 Views1415
    Read More
  5. ‘돌미’와 ‘살미’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027
    Read More
  6.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Date2010.05.07 By바람의종 Views13293
    Read More
  7. ‘뛰다’와 ‘달리다’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5559
    Read More
  8. ‘렷다’

    Date2010.04.27 By바람의종 Views9526
    Read More
  9. ‘로서’와 ‘로써’

    Date2009.12.04 By바람의종 Views9897
    Read More
  10. ‘막하다’

    Date2008.01.06 By바람의종 Views8093
    Read More
  11. ‘말밭’을 가꾸자

    Date2011.11.11 By바람의종 Views8819
    Read More
  12.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Date2022.09.11 By風文 Views1018
    Read More
  13.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Date2024.03.27 By風文 Views1505
    Read More
  14. ‘며칠’과 ‘몇 일’

    Date2023.12.28 By風文 Views1113
    Read More
  15.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Date2009.12.01 By바람의종 Views10731
    Read More
  16. ‘모라’와 마을

    Date2008.02.10 By바람의종 Views7875
    Read More
  17. ‘물멀기’와 ‘싸다’

    Date2010.05.17 By바람의종 Views12879
    Read More
  18.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Date2010.04.23 By바람의종 Views11794
    Read More
  19. ‘부끄부끄’ ‘쓰담쓰담’

    Date2023.06.02 By風文 Views1299
    Read More
  20. ‘부럽다’의 방언형

    Date2007.10.11 By바람의종 Views9075
    Read More
  21. ‘붇다’와 ‘붓다’의 활용

    Date2010.01.14 By바람의종 Views11807
    Read More
  22. ‘빼또칼’과 ‘총대가정’

    Date2010.06.08 By바람의종 Views12518
    Read More
  23.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Date2022.08.21 By風文 Views1431
    Read More
  24. ‘선진화’의 길

    Date2021.10.15 By風文 Views1106
    Read More
  25. ‘수놈’과 ‘숫놈’

    Date2024.05.08 By風文 Views46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