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5 12:50

이랑과 고랑

조회 수 751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랑과 고랑

농사짓는 솜씨가 달라지고 농사마저 사라질 지경이 되니까 농사에 딸린 말도 더불어 달라지고 사라진다. 경운기·이앙기·트랙터·콤바인이 나오니까 극젱이(훌칭이)·쟁기·써레·곰배 …가 모두 꼬리를 감추고, 따라서 따비와 보습도 사라진 지 오래다. 아무리 그렇대도 사람 목숨의 바탕인 농사가 사라질 수 없는 노릇이라면 ‘이랑’과 ‘고랑’은 끝까지 남을 말이다. 하지만 이들마저 뜻이 헷갈려 국어사전까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밭농사는 반드시 고랑과 이랑을 만들어야 한다. 흙을 깊이 갈아엎어서 흙덩이를 잘게 부수고 고른 다음 고랑에서 파 올린 흙으로 이랑을 만들어 씨앗을 넣거나 모종을 옮겨서 가꾼다. 이랑은 높아서 물기가 차이지 않아 남새나 곡식을 키우는 터전이 되지만, 고랑은 제 흙을 이랑에 넘겨주고 스스로 낮아져 이랑의 남새와 곡식을 돌보는 사람의 발에 밟히기나 한다. 그러나 세상 이치는 “이랑이 고랑 되고, 고랑이 이랑 된다”는 속담처럼 때가 차면 뒤집혀 공평해지기 마련이고, 이랑과 고랑은 언제나 정답게 짝을 이루어 ‘사래’라 불리며 살아남았다. 그런데 왕조가 무너지고 일제 침략으로 농사까지 바뀌면서 ‘두둑’이 판을 치며 이랑을 밀어냈다. 두둑은 고랑과 가지런히 짝하지 않고 제 홀로 몸집을 불려 자리를 널찍이 차지하고 남새나 곡식을 여러 줄씩 키우도록 탈바꿈한 이랑이다. 이렇게 두둑이 이랑을 밀어내고 고랑과 짝을 지으니까 국어사전들이 두둑과 고랑을 싸잡은 것이 이랑이라면서 어처구니없는 망발까지 하기에 이르렀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203
1060 안갚음 / 앙갚음 바람의종 2008.06.03 7406
1059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403
1058 비지땀 風磬 2006.12.23 7403
1057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400
1056 아비규환 바람의종 2007.12.14 7399
1055 설거지나 하세요. (게와 께) 바람의종 2008.04.20 7399
1054 단골 바람의종 2010.05.18 7398
1053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98
1052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397
1051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397
1050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392
1049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91
1048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86
1047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7385
1046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84
1045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382
1044 로비 바람의종 2008.02.10 7382
1043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379
1042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79
1041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75
1040 그라모 어쩝니껴? 바람의종 2010.02.25 7375
1039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3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