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5 12:48

돌서덕

조회 수 980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서덕

‘돌서덕’은 ‘돌이 많은 강이나 내의 바닥’을 말한다.

“맑은 물이 은은한 진폭을 울리며 흐르다가도 어느 한 곳에 와서 꿀룩꿀룩 돌서덕에 숨어 버린다.”(리병수, 〈붉은 지평선〉)

돌서덕과 비슷한 말로 남녘에서는 ‘서덜’을 쓴다. 서덜은 ‘냇가나 강가에 돌이 많은 곳’을 말하므로 강바닥을 뜻하는 돌서덕과 약간 위치가 다르다. 북녘에서도 서덜을 쓰는데, 강이나 내의 바닥을 포함한 ‘돌이 많이 깔린 곳’을 모두 가리키므로 돌서덕보다 넓은 뜻이다.

“전날에는 흔히 큰물이 밀려내려 여기의 모래논은 서덜로 변했다.”(조선말대사전)

여름에 홍수가 난 논에서 물이 빠지면 논에는 돌·자갈이 많이 남는다. 이런 곳을 서덜이라고 한다. 또 남북에서는 각각의 서덜과 같은 뜻으로 ‘돌서덜’을 쓴다. 남북이 모두 서덜·돌서덜을 쓰는데 그 뜻이 조금 다른 까닭은 무엇일까? 1950년 발행된 〈큰사전〉을 보면, 남녘에서 쓰는 뜻으로 서덜이 있고, 돌서덜과 돌서덕은 없다. 그렇다면 아마도 남북에서 두 낱말을 같은 뜻으로 쓰다가, 북녘에서는 돌서덕이 쓰이게 되면서 기존 서덜의 뜻을 돌서덕이 맡고, 서덜은 그 뜻이 원래보다 좀 확장된 듯하다. 북녘말 서덜은 그 뜻이 넓어지면서 ‘돌바닥’과 비슷한 말이 되었다.

돌이 많은 산비탈을 너덜·너덜겅·돌너덜이라고 하는데, 그러고 보면 서덜·너덜은 곳에 따라 차이가 날 뿐 돌과 관계가 있는 것은 한가지라 하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83
2798 디엠제트 바람의종 2011.11.13 11762
2797 ㅂ불규칙 활용 바람의종 2010.04.23 11755
2796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753
2795 작렬, 작열 바람의종 2008.09.18 11747
2794 국민들 바람의종 2010.09.08 11738
2793 '데'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6 11737
2792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35
2791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734
2790 후덥지근 / 후텁지근 바람의종 2012.05.30 11711
2789 자그마치 바람의종 2007.03.16 11701
2788 지다 바람의종 2010.08.15 11695
2787 의학 용어 바람의종 2010.03.03 11693
2786 표준 언어 예절 바람의종 2012.03.27 11693
2785 빼도 박도 못한다 바람의종 2008.02.24 11691
2784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691
2783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690
2782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88
2781 설화, 눈꽃, 상고대, 서리꽃 바람의종 2010.01.27 11686
2780 사이다 바람의종 2010.06.16 11685
2779 상구 울어 싸 file 바람의종 2010.03.18 11681
2778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72
2777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6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