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4 02:09

마개와 뚜껑

조회 수 819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개와 뚜껑

‘마개’는 ‘막다’는 움직씨의 줄기 ‘막’에 ‘애’가 붙고, ‘덮개’는 ‘덮다’는 움직씨의 줄기 ‘덮’에 ‘애’가 붙어 이름씨 낱말이 되었다. 이때 ‘애’는 “~에 쓰는 무엇”이라는 이름꼴 씨끝이다. 그래서 마개는 “막는 데에 쓰는 무엇”이고, 덮개는 “덮는 데에 쓰는 무엇”이다. 막는 것은 무엇이며 덮는 것은 무엇인가? 병이나 항아리 따위 아가리가 구멍인 것에다 안으로 끼워서 안에 든 것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지키는 노릇이 막는 것이고, 바깥으로 감싸서 밖에 있는 것이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지키는 노릇이 덮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개는 막았다가 뽑아야 하고, 덮개는 덮었다가 벗겨야 한다. 그리고 덮개는 병이나 항아리 같이 아가리가 구멍인 것보다는 아가리가 큰 통이나 독이나 도가지 같은 것에 더욱 잘 어울리고, 나아가 밖에서 오는 벌레나 짐승, 빛이나 볕, 눈이나 비, 심지어 바람 따위를 막으려는 것이면 무엇에나 두루 쓰인다.

‘뚜껑’은 아가리를 바깥으로 감싸는 모습에서나 밖에 있는 것이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지키려는 구실에서나 덮개와 비슷하다. 덮개나 뚜껑이나 모두 본디 하나의 움직씨 ‘둪다’에서 나온 아재비조카 사이기 때문이다. ‘둪다’의 줄기 ‘둪’에 이름꼴 씨끝 ‘엉’이 붙어 뚜벙(뚜껑)이 되고, ‘둪다’가 ‘덮다’로 바뀐 다음 거기서 덮개가 나왔다. 뚜껑은 덮개처럼 무엇에나 두루 쓰이지는 않고 살림살이에서 훨씬 긴요한 솥이나 그릇이나 상자 같은 가구에만 가려서 쓰인다. 그리고 뚜껑은 닫았다가 열어야 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1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7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815
1478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10
1477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109
1476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09
1475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09
1474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08
1473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06
1472 노파심 바람의종 2007.06.12 8105
1471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05
1470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04
1469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04
1468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098
1467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095
1466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8092
1465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086
1464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084
1463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084
1462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075
1461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074
1460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070
1459 널다리와 너더리 바람의종 2008.07.02 8064
1458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59
1457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0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