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4 02:09

마개와 뚜껑

조회 수 824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개와 뚜껑

‘마개’는 ‘막다’는 움직씨의 줄기 ‘막’에 ‘애’가 붙고, ‘덮개’는 ‘덮다’는 움직씨의 줄기 ‘덮’에 ‘애’가 붙어 이름씨 낱말이 되었다. 이때 ‘애’는 “~에 쓰는 무엇”이라는 이름꼴 씨끝이다. 그래서 마개는 “막는 데에 쓰는 무엇”이고, 덮개는 “덮는 데에 쓰는 무엇”이다. 막는 것은 무엇이며 덮는 것은 무엇인가? 병이나 항아리 따위 아가리가 구멍인 것에다 안으로 끼워서 안에 든 것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지키는 노릇이 막는 것이고, 바깥으로 감싸서 밖에 있는 것이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지키는 노릇이 덮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개는 막았다가 뽑아야 하고, 덮개는 덮었다가 벗겨야 한다. 그리고 덮개는 병이나 항아리 같이 아가리가 구멍인 것보다는 아가리가 큰 통이나 독이나 도가지 같은 것에 더욱 잘 어울리고, 나아가 밖에서 오는 벌레나 짐승, 빛이나 볕, 눈이나 비, 심지어 바람 따위를 막으려는 것이면 무엇에나 두루 쓰인다.

‘뚜껑’은 아가리를 바깥으로 감싸는 모습에서나 밖에 있는 것이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지키려는 구실에서나 덮개와 비슷하다. 덮개나 뚜껑이나 모두 본디 하나의 움직씨 ‘둪다’에서 나온 아재비조카 사이기 때문이다. ‘둪다’의 줄기 ‘둪’에 이름꼴 씨끝 ‘엉’이 붙어 뚜벙(뚜껑)이 되고, ‘둪다’가 ‘덮다’로 바뀐 다음 거기서 덮개가 나왔다. 뚜껑은 덮개처럼 무엇에나 두루 쓰이지는 않고 살림살이에서 훨씬 긴요한 솥이나 그릇이나 상자 같은 가구에만 가려서 쓰인다. 그리고 뚜껑은 닫았다가 열어야 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9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4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383
1214 마음쇠 file 바람의종 2009.10.27 8415
1213 마을 가다 file 바람의종 2010.07.18 12129
1212 마스카라 바람의종 2010.06.20 13834
1211 마마잃은중천공? / 비오토프 風文 2020.07.03 1783
1210 마린보이 바람의종 2012.08.13 12248
1209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18
1208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473
1207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6226
1206 마도로스 바람의종 2009.08.29 6153
1205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바람의종 2012.10.05 16946
1204 마니산과 머리 바람의종 2008.01.28 8703
1203 마는, 만은 바람의종 2010.10.11 12920
1202 마누라 風磬 2006.11.26 8313
1201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371
1200 마냥, 모양 바람의종 2009.10.08 7546
1199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167
» 마개와 뚜껑 바람의종 2008.02.04 8249
1197 마가 끼다 바람의종 2008.01.05 16635
1196 린치, 신나, 섬머 바람의종 2008.10.29 7145
1195 릉, 능 바람의종 2008.10.25 8801
1194 률과 율 바람의종 2008.04.16 8433
1193 륙, 육 바람의종 2011.10.27 123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