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4 02:09

마개와 뚜껑

조회 수 825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개와 뚜껑

‘마개’는 ‘막다’는 움직씨의 줄기 ‘막’에 ‘애’가 붙고, ‘덮개’는 ‘덮다’는 움직씨의 줄기 ‘덮’에 ‘애’가 붙어 이름씨 낱말이 되었다. 이때 ‘애’는 “~에 쓰는 무엇”이라는 이름꼴 씨끝이다. 그래서 마개는 “막는 데에 쓰는 무엇”이고, 덮개는 “덮는 데에 쓰는 무엇”이다. 막는 것은 무엇이며 덮는 것은 무엇인가? 병이나 항아리 따위 아가리가 구멍인 것에다 안으로 끼워서 안에 든 것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지키는 노릇이 막는 것이고, 바깥으로 감싸서 밖에 있는 것이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지키는 노릇이 덮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개는 막았다가 뽑아야 하고, 덮개는 덮었다가 벗겨야 한다. 그리고 덮개는 병이나 항아리 같이 아가리가 구멍인 것보다는 아가리가 큰 통이나 독이나 도가지 같은 것에 더욱 잘 어울리고, 나아가 밖에서 오는 벌레나 짐승, 빛이나 볕, 눈이나 비, 심지어 바람 따위를 막으려는 것이면 무엇에나 두루 쓰인다.

‘뚜껑’은 아가리를 바깥으로 감싸는 모습에서나 밖에 있는 것이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지키려는 구실에서나 덮개와 비슷하다. 덮개나 뚜껑이나 모두 본디 하나의 움직씨 ‘둪다’에서 나온 아재비조카 사이기 때문이다. ‘둪다’의 줄기 ‘둪’에 이름꼴 씨끝 ‘엉’이 붙어 뚜벙(뚜껑)이 되고, ‘둪다’가 ‘덮다’로 바뀐 다음 거기서 덮개가 나왔다. 뚜껑은 덮개처럼 무엇에나 두루 쓰이지는 않고 살림살이에서 훨씬 긴요한 솥이나 그릇이나 상자 같은 가구에만 가려서 쓰인다. 그리고 뚜껑은 닫았다가 열어야 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2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7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645
1214 엑박 바람의종 2010.03.30 10887
1213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07
1212 ‘100만여원’과 ‘100여만원’ 바람의종 2010.03.30 12433
1211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42
1210 녹녹지 않다 바람의종 2010.03.30 12180
1209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25
1208 주마등 바람의종 2010.04.01 12373
1207 아니요와 아니오 바람의종 2010.04.01 11355
1206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02
1205 놀잇감, 장난감 바람의종 2010.04.01 5943
1204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39
1203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5953
1202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492
1201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바람의종 2010.04.02 11341
1200 유혈목이, 새홀리기 바람의종 2010.04.02 10801
1199 늘그막, 늙으막 / 늑수그레하다, 늙수그레하다 바람의종 2010.04.02 23638
1198 골덴 바람의종 2010.04.06 11767
1197 벌이다와 벌리다 바람의종 2010.04.06 13494
1196 옴니암니 바람의종 2010.04.06 12510
1195 살찌다, 살지다 바람의종 2010.04.07 9978
1194 영어 남발 바람의종 2010.04.07 10073
1193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