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4 02:09

마개와 뚜껑

조회 수 829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개와 뚜껑

‘마개’는 ‘막다’는 움직씨의 줄기 ‘막’에 ‘애’가 붙고, ‘덮개’는 ‘덮다’는 움직씨의 줄기 ‘덮’에 ‘애’가 붙어 이름씨 낱말이 되었다. 이때 ‘애’는 “~에 쓰는 무엇”이라는 이름꼴 씨끝이다. 그래서 마개는 “막는 데에 쓰는 무엇”이고, 덮개는 “덮는 데에 쓰는 무엇”이다. 막는 것은 무엇이며 덮는 것은 무엇인가? 병이나 항아리 따위 아가리가 구멍인 것에다 안으로 끼워서 안에 든 것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지키는 노릇이 막는 것이고, 바깥으로 감싸서 밖에 있는 것이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지키는 노릇이 덮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개는 막았다가 뽑아야 하고, 덮개는 덮었다가 벗겨야 한다. 그리고 덮개는 병이나 항아리 같이 아가리가 구멍인 것보다는 아가리가 큰 통이나 독이나 도가지 같은 것에 더욱 잘 어울리고, 나아가 밖에서 오는 벌레나 짐승, 빛이나 볕, 눈이나 비, 심지어 바람 따위를 막으려는 것이면 무엇에나 두루 쓰인다.

‘뚜껑’은 아가리를 바깥으로 감싸는 모습에서나 밖에 있는 것이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지키려는 구실에서나 덮개와 비슷하다. 덮개나 뚜껑이나 모두 본디 하나의 움직씨 ‘둪다’에서 나온 아재비조카 사이기 때문이다. ‘둪다’의 줄기 ‘둪’에 이름꼴 씨끝 ‘엉’이 붙어 뚜벙(뚜껑)이 되고, ‘둪다’가 ‘덮다’로 바뀐 다음 거기서 덮개가 나왔다. 뚜껑은 덮개처럼 무엇에나 두루 쓰이지는 않고 살림살이에서 훨씬 긴요한 솥이나 그릇이나 상자 같은 가구에만 가려서 쓰인다. 그리고 뚜껑은 닫았다가 열어야 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18
1962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60
1961 무량대수 바람의종 2008.04.16 8166
1960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168
1959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8170
1958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70
1957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75
1956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75
1955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82
1954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84
1953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186
1952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86
1951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87
1950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190
1949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196
1948 노파심 바람의종 2007.06.12 8197
1947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203
1946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204
1945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205
1944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208
1943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08
1942 갸냘픈 바람의종 2012.08.01 8212
1941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2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