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3 03:18

가닥덕대

조회 수 745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닥덕대

지하철의 좌석 위쪽에는 물건을 얹을 수 있도록 쇠기둥 여럿으로 ‘가닥덕대’를 만들어 놓았다. 가닥덕대는 ‘여러 가닥의 막대기로 만든 덕대’를 말한다. 지하철의 가닥덕대를 보통 ‘지하철 선반’이라 이르는데, 이는 선반과 덕대를 구별하지 못한 데서 하는 말이다. 물건을 얹어 두고자 만든 구조물을 이르는 말로 ‘선반·시렁·덕대’가 있다. 남북에서 두루 쓰는 말이다. 선반과 시렁은 만든 재료로 구별된다. 널빤지처럼 면을 가진 재료로 만들면 선반이고, 막대기처럼 길쭉한 것 두 개를 재료로 만들면 시렁이다. 덕대는 ‘덕’으로도 쓰이는데 선반과 시렁을 아우르는 말이다.

예전 시골집 방이나 마루, 부엌에서는 시렁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집이 서양식으로 바뀜에 따라 시렁은 점차 익숙하지 않게 되었다. 지하철에 있는 덕대는 쇠기둥 여러 개로 되어 있어 시렁은 적절치 않다. ‘지하철 덕대’나 ‘지하철 가닥덕대’가 ‘지하철 선반’보다 정확한 표현이다.

“로인은 아래방 가닥덕대우에서 보자기에 싼 물건을 정하게 들어내리더니 밖에 나가 먼지를 깨끗이 털어가지고 품에 안고 들어섰다.”(장편소설 <그리운 조국산천>)

북녘말 ‘덩굴덕대’는 ‘덩굴 식물을 키우기 위해 만든 덕대’, ‘고기덕’은 ‘물고기를 말리기 위한 덕대’, ‘말림덕대’는 ‘물건을 말리기 위해 설치한 덕대’를 말한다.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된 ‘빨래 건조대’를 말림덕대라고 불러 보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5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054
2402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267
2401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70
2400 유명세를 타다 바람의종 2008.10.30 7275
2399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77
2398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277
2397 오늘은 왠지... 바람의종 2008.04.13 7278
2396 바람의종 2008.08.21 7286
2395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287
2394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288
2393 비지땀 風磬 2006.12.23 7293
2392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295
2391 내 탓이오 바람의종 2008.04.03 7303
2390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04
2389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307
2388 개보름 바람의종 2007.12.29 7308
2387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09
2386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311
2385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319
2384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19
2383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19
2382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21
2381 발르세요? 바람의종 2008.03.14 73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