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3 03:14

물과 땅이름

조회 수 806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과 땅이름

물은 어느 시대 어느 곳이나 생명과 다름이 없다. 땅을 기름지게 하고, 곡식을 자라게 하며, 늘 새로운 생명을 싹틔우는 바탕이 물이다. 흔히 종교 행사로 치르는 ‘세례’ 또한 인간의 죄를 씻어주는 것을 의미하지 않겠는가. 그렇기에 <균여전>의 ‘항순중생가’에도 ‘대비 물로 적시어 이울지(시들지) 아니하겠더라’라는 시구가 나온다.

땅이름에 물과 관련된 것은 매우 많다. ‘물’의 옛말은  였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수성군’(매홀군), ‘매소홀현’(미추홀), ‘수곡성현’(매탄홀), ‘이천현’(이진매현)에 포함된 ‘매’(買)는 모두 ‘물’을 표기한 보기들이다. 그런데 이 낱말의 음은 산을 나타내는 ‘뫼’와 유사하며, 들을 나타내는   와 같다.

여기에서 우리는 ‘물’을 뜻하는  가, 산이나 들의 ‘뫼’와   처럼 ‘미’로 변화할 가능성을 점칠 수 있다. 그런데 이 낱말은 ‘미’로 변화하지 않고, ‘믈’을 거쳐 ‘물’로 변화한다. 왜 그럴까? 이에 대한 해답은 언어 변화의 기능 부담과 관련지어 풀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하나의 낱말 형태가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담당할 경우, 서로 다른 꼴로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산’과 ‘들’, 그리고 ‘물’을 모두 ‘미’로 일컫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이와는 달리 ‘나리’에서 온 ‘내’는 오랫동안 땅이름에 남는다. 예를 들어 ‘모래내’, ‘연신내’, ‘오목내’처럼, 물줄기를 뜻하는 ‘내’는 오늘날에도 자주 들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27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7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671
1434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바람의종 2009.05.29 14250
1433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083
1432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38
1431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72
1430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12
1429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5990
1428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619
1427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394
1426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20
1425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13
1424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370
1423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759
1422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779
1421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772
1420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140
1419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70
1418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54
1417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374
1416 물사마귀 바람의종 2010.07.17 11257
1415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593
1414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77
»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80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