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3 03:14

물과 땅이름

조회 수 814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과 땅이름

물은 어느 시대 어느 곳이나 생명과 다름이 없다. 땅을 기름지게 하고, 곡식을 자라게 하며, 늘 새로운 생명을 싹틔우는 바탕이 물이다. 흔히 종교 행사로 치르는 ‘세례’ 또한 인간의 죄를 씻어주는 것을 의미하지 않겠는가. 그렇기에 <균여전>의 ‘항순중생가’에도 ‘대비 물로 적시어 이울지(시들지) 아니하겠더라’라는 시구가 나온다.

땅이름에 물과 관련된 것은 매우 많다. ‘물’의 옛말은  였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수성군’(매홀군), ‘매소홀현’(미추홀), ‘수곡성현’(매탄홀), ‘이천현’(이진매현)에 포함된 ‘매’(買)는 모두 ‘물’을 표기한 보기들이다. 그런데 이 낱말의 음은 산을 나타내는 ‘뫼’와 유사하며, 들을 나타내는   와 같다.

여기에서 우리는 ‘물’을 뜻하는  가, 산이나 들의 ‘뫼’와   처럼 ‘미’로 변화할 가능성을 점칠 수 있다. 그런데 이 낱말은 ‘미’로 변화하지 않고, ‘믈’을 거쳐 ‘물’로 변화한다. 왜 그럴까? 이에 대한 해답은 언어 변화의 기능 부담과 관련지어 풀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하나의 낱말 형태가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담당할 경우, 서로 다른 꼴로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산’과 ‘들’, 그리고 ‘물’을 모두 ‘미’로 일컫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이와는 달리 ‘나리’에서 온 ‘내’는 오랫동안 땅이름에 남는다. 예를 들어 ‘모래내’, ‘연신내’, ‘오목내’처럼, 물줄기를 뜻하는 ‘내’는 오늘날에도 자주 들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8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4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50
202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474
201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092
200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2087
199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601
198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871
197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430
196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670
195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650
194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896
193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430
192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590
191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912
190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997
189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8092
188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867
187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505
186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2127
185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481
184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932
183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306
182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92
181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6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