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3 03:14

물과 땅이름

조회 수 816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과 땅이름

물은 어느 시대 어느 곳이나 생명과 다름이 없다. 땅을 기름지게 하고, 곡식을 자라게 하며, 늘 새로운 생명을 싹틔우는 바탕이 물이다. 흔히 종교 행사로 치르는 ‘세례’ 또한 인간의 죄를 씻어주는 것을 의미하지 않겠는가. 그렇기에 <균여전>의 ‘항순중생가’에도 ‘대비 물로 적시어 이울지(시들지) 아니하겠더라’라는 시구가 나온다.

땅이름에 물과 관련된 것은 매우 많다. ‘물’의 옛말은  였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수성군’(매홀군), ‘매소홀현’(미추홀), ‘수곡성현’(매탄홀), ‘이천현’(이진매현)에 포함된 ‘매’(買)는 모두 ‘물’을 표기한 보기들이다. 그런데 이 낱말의 음은 산을 나타내는 ‘뫼’와 유사하며, 들을 나타내는   와 같다.

여기에서 우리는 ‘물’을 뜻하는  가, 산이나 들의 ‘뫼’와   처럼 ‘미’로 변화할 가능성을 점칠 수 있다. 그런데 이 낱말은 ‘미’로 변화하지 않고, ‘믈’을 거쳐 ‘물’로 변화한다. 왜 그럴까? 이에 대한 해답은 언어 변화의 기능 부담과 관련지어 풀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하나의 낱말 형태가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담당할 경우, 서로 다른 꼴로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산’과 ‘들’, 그리고 ‘물’을 모두 ‘미’로 일컫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이와는 달리 ‘나리’에서 온 ‘내’는 오랫동안 땅이름에 남는다. 예를 들어 ‘모래내’, ‘연신내’, ‘오목내’처럼, 물줄기를 뜻하는 ‘내’는 오늘날에도 자주 들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5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0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949
1390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39
1389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38
1388 매무시 風磬 2006.11.26 8033
1387 서낭당 風磬 2006.12.29 8032
1386 낙점 바람의종 2007.06.09 8032
1385 발바리 바람의종 2010.02.23 8027
1384 선보다 바람의종 2007.05.15 8024
1383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19
1382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18
1381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8018
1380 옥석구분 바람의종 2008.12.18 8013
1379 바이크 바람의종 2009.09.21 8010
1378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8003
1377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8001
1376 망나니 風磬 2006.11.26 7996
1375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994
1374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994
1373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7990
1372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89
1371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80
1370 따 놓은 당상 바람의종 2009.03.27 7979
1369 으시시, 부시시 바람의종 2009.07.23 79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