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19:46

‘돌미’와 ‘살미’

조회 수 8009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미’와 ‘살미’

서울 금천구 독산동이나 김포시 양촌면의 석산은 모두 ‘돌미’라 불리던 지역이었다. ‘돌미’에 들어 있는 ‘미’는 ‘산’을 뜻하는 ‘뫼’가 변한 말이다. 이처럼 산을 나타내는 말이 ‘미’로 변화한 땅이름은 매우 많다. 달이 뜨는 산을 뜻하는 ‘월출산’이나 ‘월악산’은 ‘달나미’, 또는 ‘달미’로 불린다.


그런데 ‘미’가 붙은 땅이름이라고 하여 모두 산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충북 중원(충주)의 ‘살미’는 산과는 관련이 없다. 여기에 붙은 ‘미’는 ‘들판’을 뜻하는  ‘가 변화한 말이다.  ‘ 는 〈훈몽자회〉에도 나오는데, 한자 ‘야’(野)를 ‘ 야’로 풀이하였다. 또한 〈두시언해〉에도 ‘누른 흙  두듥엔 하늘 닭이 춤추놋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뫼’와   ‘는 소리가 비슷해서 모두 ‘미’로 바뀔 수 있다. 이처럼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말을 동음이의어라 부른다.

흥미로운 사실은 일상의 언어생활에서는 동음이의어가 생겨날 경우, 뜻을 변별하기 위해 어느 한 낱말은 다른 말로 대체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예컨대 ‘계절’을 뜻하는 ‘녀름’이 머릿소리규칙에 따라 ‘여름’으로 변화하면, 본디 있던 ‘여름’은 ‘열매’로 바뀐다. 그런데 땅이름에 나타나는 동음이의어는 이처럼 자유로운 변화를 보이지 못한다. 충북 제천에서는 ‘살미’를 ‘미산’이라 부르는데, 이 땅이름은 ‘쌀이 산처럼 쌓였다’는 전설보다는 ‘미’의 동음이의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0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5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557
180 국수 바람의종 2007.06.05 7361
179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185
178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28
177 공부 바람의종 2007.06.03 7129
176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07
175 계륵 바람의종 2007.06.02 5951
174 계간 바람의종 2007.06.02 7073
173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537
172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106
171 개안 바람의종 2007.05.30 7439
170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265
169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525
168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118
167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012
166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590
165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446
164 칠흑 같다 바람의종 2007.05.25 12611
163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162
162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434
161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523
160 중뿔나게 바람의종 2007.05.22 11354
159 주책없다 바람의종 2007.05.22 85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