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19:46

‘돌미’와 ‘살미’

조회 수 808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미’와 ‘살미’

서울 금천구 독산동이나 김포시 양촌면의 석산은 모두 ‘돌미’라 불리던 지역이었다. ‘돌미’에 들어 있는 ‘미’는 ‘산’을 뜻하는 ‘뫼’가 변한 말이다. 이처럼 산을 나타내는 말이 ‘미’로 변화한 땅이름은 매우 많다. 달이 뜨는 산을 뜻하는 ‘월출산’이나 ‘월악산’은 ‘달나미’, 또는 ‘달미’로 불린다.


그런데 ‘미’가 붙은 땅이름이라고 하여 모두 산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충북 중원(충주)의 ‘살미’는 산과는 관련이 없다. 여기에 붙은 ‘미’는 ‘들판’을 뜻하는  ‘가 변화한 말이다.  ‘ 는 〈훈몽자회〉에도 나오는데, 한자 ‘야’(野)를 ‘ 야’로 풀이하였다. 또한 〈두시언해〉에도 ‘누른 흙  두듥엔 하늘 닭이 춤추놋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뫼’와   ‘는 소리가 비슷해서 모두 ‘미’로 바뀔 수 있다. 이처럼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말을 동음이의어라 부른다.

흥미로운 사실은 일상의 언어생활에서는 동음이의어가 생겨날 경우, 뜻을 변별하기 위해 어느 한 낱말은 다른 말로 대체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예컨대 ‘계절’을 뜻하는 ‘녀름’이 머릿소리규칙에 따라 ‘여름’으로 변화하면, 본디 있던 ‘여름’은 ‘열매’로 바뀐다. 그런데 땅이름에 나타나는 동음이의어는 이처럼 자유로운 변화를 보이지 못한다. 충북 제천에서는 ‘살미’를 ‘미산’이라 부르는데, 이 땅이름은 ‘쌀이 산처럼 쌓였다’는 전설보다는 ‘미’의 동음이의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82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800
2072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07
2071 우레, 우뢰 바람의종 2009.08.02 7911
2070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11
2069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914
2068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14
2067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14
2066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15
2065 서낭당 風磬 2006.12.29 7917
2064 진짜 바람의종 2010.04.30 7919
2063 꽝포쟁이 바람의종 2008.03.25 7920
2062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22
2061 비만인 사람, 비만이다 바람의종 2009.09.29 7924
2060 바람의종 2009.07.31 7926
2059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7927
2058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928
2057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7931
2056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32
2055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33
2054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34
2053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7935
2052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35
2051 매무시 風磬 2006.11.26 79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