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02:23

아랍말과 히브리말

조회 수 742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랍말과 히브리말

아시아 서쪽 아라비아반도와 아프리카 북부지역에 걸쳐 널리 퍼진 말겨레가 셈말겨레라 한다. 셈말겨레는 다시 북서부와 중남부로 나뉘는데 북서부의 대표적인 말이 히브리말이며, 중남부의 대표적인 말이 아랍말이다. 히브리말은 본디 팔레스타인을 중심으로 사용된 성경 언어로서 오랫동안 유대교의 문자언어로 유지해 오다가 19세기 말에 일상언어로 부활했으며, 1948년 이스라엘이 서면서 이스라엘의 공용어가 되었다.

아랍말은 이슬람의 성전 코란 언어로 확립된 7세기부터 종교적 발전과 더불어 분포지역을 크게 확대하였으며, 현재는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아라비아반도의 여러 나라와 이집트·수단·리비아·알제리·모로코 등 북아프리카 여러 나라에서 공용어로 쓰인다.  

같은 말겨레에 딸린 까닭에 아랍말과 히브리말은 공통점이 많다. 이들 말은 대체로 세 자음이 한 형태소를 이루고, 그 안에 들어 가는 모음에 따라 여러 낱말로 파생되기도 하며 문법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아랍말에 ‘k-t-b’라는 어근이 있는데, 여기에 ‘-i-a-’가 들어간 ‘kitab’는 책이고, ‘a-i-’가 들어간 ‘katib’는 서기라는 뜻이다. 그리고 글자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로로 쓰는 특징도 두 언어가 같다.

종교적으로 또 정치적으로 대립과 싸움이 끊이지 않는, 물과 기름 같은 사이인 이스라엘과 아라비아권의 언어가 같은 계통인 셈말겨레에 든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8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3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34
180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559
179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285
178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023
177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403
176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675
175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489
174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바람의종 2010.05.31 10729
173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186
172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656
171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042
170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272
169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301
168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467
167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878
166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881
165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205
164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43
163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455
162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241
161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075
160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925
159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4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