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02:11

별내와 비달홀

조회 수 883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별내와 비달홀

뜻이 같은 한자말과 토박이말이 합친 말이 많다. ‘역전앞’이나 ‘처가집’이 대표적인 경우다. 언어학자들은 같은 뜻을 합쳐 이룬 낱말은 말의 경제적인 차원에서 불합리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적절한 말이 아니라고 한다. 따라서 ‘역전’이나 ‘처가’로 써야 바른 표현이라고 한다.

그런데 한자말과 토박이말의 합성어가 전혀 새로운 말을 만들어낼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족발’은 ‘족’(足)이나 ‘발’만으로는 뜻을 전할 수 없다. 왜 그럴까? 그것은 비록 ‘족’과 ‘발’이 같은 뜻일지라도 두 말이 합치어 새로운 대상을 가리키는 말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옛말 가운데는 ‘별’과 ‘낭’이 그런 보기에 해당한다. 전남 승주군에 있었던 ‘별량(별애)부곡’이나 <삼국사기>에 보이는 ‘압록수 이북의 미수복 지역’ 땅이름인 ‘비달홀’(비탈골)에 들어 있는 ‘별애’와 ‘비탈’은 비스듬한 모양의 지형을 나타내는 말이었다.

우리 옛말에는 ‘별’과 ‘낭’은 비슷하지만 다른 뜻의 말이었다. <동국신속 삼강행실도>의 “ㅈ.식을 업고 낭의 떨어져 죽으니라”라는 구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낭’은 ‘절벽’을 뜻하며, <동동>의 “6월 보름에 별헤 ㅂ.룐 빗 다호라”에 나오는 ‘별’은 절벽보다는 덜 가파른 비스듬한 지역을 나타낸다. 이 두 말이 합쳐서 ‘벼랑’이라는 말이 된 것이다. 특히 ‘별’은 물을 뜻하는 ‘내’나 ‘고개’를 뜻하는 ‘재’와 어울려 땅이름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깅기 남양주의 ‘별내’나 강원 통천의 ‘별재’는 이런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7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60
2820 터무니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31 11487
2819 아시저녁·아시잠 바람의종 2008.01.31 7556
2818 까닭과 때문 바람의종 2008.01.31 7006
2817 으악새 바람의종 2008.01.31 9907
2816 토를 달다 바람의종 2008.02.01 13806
2815 학을 떼다 바람의종 2008.02.01 10574
2814 한풀 꺾이다 바람의종 2008.02.01 16040
» 별내와 비달홀 바람의종 2008.02.01 8839
2812 아랍말과 히브리말 바람의종 2008.02.01 7479
2811 무릎노리 바람의종 2008.02.01 8826
2810 활개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12706
2809 홰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39857
2808 회가 동하다 바람의종 2008.02.01 20324
2807 올림과 드림 바람의종 2008.02.01 7511
2806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158
2805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36
2804 곤조 바람의종 2008.02.02 8858
2803 깡통 바람의종 2008.02.02 9089
2802 아프리카의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02 8929
2801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797
2800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8154
2799 깡패 바람의종 2008.02.03 76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