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1 19:29

으악새

조회 수 98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으악새

오래된 유행가 가운데 가을이 되면 애절하게 가슴을 적시는 “아 아~ 으악새 슬피 우니 가을인가요 …”(‘짝사랑’) 하는 노랫말에서 ‘으악새’가 나온다. 이를 ‘새’(鳥)로 아는 이들이 많은 듯하다. 2절에서 ‘뜸북새’도 슬피 운다 하니 더욱 그럴싸하다. 실제로 정재도님은 그것이 물과 관계가 있으며, 봄에 우리나라에 와 논·강·호숫가에서 살다가 가을에 돌아가며 슬피 우는 ‘왜가리’를 일컫는다고 밝힌 바 있다.

‘짝사랑’에 나오는 ‘으악새’와 상관없이 풀이름 ‘억새’의 경기 사투리로 ‘으악새’가 있고, 억새의 옛말에 ‘어웍새’가 있는 것을 보면, 풀이름과 ‘으악새’의 인연도 깊은 듯하다.

‘새’는 우리가 흔히 동물 이름 ‘○○새’를 떠올리지만, 식물 이름 ‘○○새’도 꽤 있다. 그냥 ‘새’라는 풀도 있고, ‘억새’의 준말이 ‘새’이기도 하다. 또한 볏과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기도 한데, ‘기름새/ 나래새/ 드렁새/ 들묵새/ 물뚝새/ 쌀새/ 솔새/ 수수새/ 장고새 …들이 있다. ‘방울새’는 새이름이기도 하지만 풀이름이기도 하고, ‘오리새/ 꼬리새/ 호오리새’ 역시 새이름 아닌 풀이름이다.

주변에 19세기 프랑스 폴 베를렌의 시 〈가을의 노래〉 중 “가을날 비올롱의 긴 흐느낌은 ~”에서 ‘비올롱’을 바이올린이 아닌, 세상에서 가장 슬피 우는 새로 잘못 알고 그 감정에 푹 빠져서 불문학을 전공해 교수가 되셨다는 분이 있다. 착각에 힘입은 감동이라도 가끔씩은 개입하는 게 삶의 모습이란 생각이 든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1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662
2820 터무니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31 11487
2819 아시저녁·아시잠 바람의종 2008.01.31 7551
2818 까닭과 때문 바람의종 2008.01.31 7001
» 으악새 바람의종 2008.01.31 9894
2816 토를 달다 바람의종 2008.02.01 13797
2815 학을 떼다 바람의종 2008.02.01 10574
2814 한풀 꺾이다 바람의종 2008.02.01 16040
2813 별내와 비달홀 바람의종 2008.02.01 8829
2812 아랍말과 히브리말 바람의종 2008.02.01 7476
2811 무릎노리 바람의종 2008.02.01 8826
2810 활개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12706
2809 홰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39840
2808 회가 동하다 바람의종 2008.02.01 20319
2807 올림과 드림 바람의종 2008.02.01 7507
2806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142
2805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36
2804 곤조 바람의종 2008.02.02 8849
2803 깡통 바람의종 2008.02.02 9089
2802 아프리카의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02 8921
2801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793
2800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8152
2799 깡패 바람의종 2008.02.03 76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