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1 19:25

아시저녁·아시잠

조회 수 747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시저녁·아시잠

‘아시잠’은 ‘잠깐 드는 잠’이다. 이런 잠을 이르는 말로 ‘선잠·겉잠·어뜩잠’ 등이 있다.

“철민이 이제는 그만 하고 쉬라고 권했으나 어머니는 초저녁에 아시잠을 한숨 자고 났더니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하면서 그냥 일손을 놓지 않았다.”(변희근 <뜨거운 심장>)
“어뜩잠이 들어 꿈속을 헤매다가 깨여난 명옥은 눈을 번쩍 뜨고서 달빛이 환히 비쳐드는 방안을 어수선한 심정으로 두리두리 살폈다.”(장편소설 <태양의 아들>)

‘아시’는 남북 두루 쓰는 토박이말로 ‘처음’을 뜻한다. ‘애’로도 쓰는데, 둘 다 ‘처음’을 뜻하는 ‘아?’에서 왔다. ‘아시’는 ‘애초’와 ‘애벌’로 구분하여 풀이하기도 하나, 애벌은 ‘애+벌(횟수)’ 짜임으로 ‘첫 번’이란 뜻이고, 애초는 ‘애+초’(-初) 짜임으로 ‘맨 처음’을 뜻하므로, ‘처음’이란 풀이로 아우를 수 있겠다.

‘아시빨래·애빨래’는 ‘애벌빨래, 처음 하는 빨래’다. ‘아시갈이·애갈이’는 ‘논밭을 처음 가는 것’, ‘아시논·애논’은 ‘처음 김을 매는 논’이다. ‘아시당초·애당초’는 ‘당초’와 비슷한 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애당초’를 ‘애초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로 풀이했는데, ‘당초를 강조하는 말’로 보는 것이 옳겠다. ‘애초’에 ‘당(當)’이 곁들인 게 아니라 ‘당초’(當初)에 ‘애’가 결합했기 때문이다.

북녘말 ‘아시저녁’은 초저녁이고, ‘애저녁’으로도 쓴다. 이 ‘아시’는 ‘초가을·초어스름·초이튿날’ 등의 ‘초’ 자리에 쓸 수도 있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7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2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316
180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162
179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160
178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158
177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158
176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157
175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156
174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156
173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154
172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153
171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153
170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152
169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152
168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150
167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148
166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148
165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147
164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146
163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144
162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144
161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142
160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138
159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1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