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1 19:25

아시저녁·아시잠

조회 수 7572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시저녁·아시잠

‘아시잠’은 ‘잠깐 드는 잠’이다. 이런 잠을 이르는 말로 ‘선잠·겉잠·어뜩잠’ 등이 있다.

“철민이 이제는 그만 하고 쉬라고 권했으나 어머니는 초저녁에 아시잠을 한숨 자고 났더니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하면서 그냥 일손을 놓지 않았다.”(변희근 <뜨거운 심장>)
“어뜩잠이 들어 꿈속을 헤매다가 깨여난 명옥은 눈을 번쩍 뜨고서 달빛이 환히 비쳐드는 방안을 어수선한 심정으로 두리두리 살폈다.”(장편소설 <태양의 아들>)

‘아시’는 남북 두루 쓰는 토박이말로 ‘처음’을 뜻한다. ‘애’로도 쓰는데, 둘 다 ‘처음’을 뜻하는 ‘아?’에서 왔다. ‘아시’는 ‘애초’와 ‘애벌’로 구분하여 풀이하기도 하나, 애벌은 ‘애+벌(횟수)’ 짜임으로 ‘첫 번’이란 뜻이고, 애초는 ‘애+초’(-初) 짜임으로 ‘맨 처음’을 뜻하므로, ‘처음’이란 풀이로 아우를 수 있겠다.

‘아시빨래·애빨래’는 ‘애벌빨래, 처음 하는 빨래’다. ‘아시갈이·애갈이’는 ‘논밭을 처음 가는 것’, ‘아시논·애논’은 ‘처음 김을 매는 논’이다. ‘아시당초·애당초’는 ‘당초’와 비슷한 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애당초’를 ‘애초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로 풀이했는데, ‘당초를 강조하는 말’로 보는 것이 옳겠다. ‘애초’에 ‘당(當)’이 곁들인 게 아니라 ‘당초’(當初)에 ‘애’가 결합했기 때문이다.

북녘말 ‘아시저녁’은 초저녁이고, ‘애저녁’으로도 쓴다. 이 ‘아시’는 ‘초가을·초어스름·초이튿날’ 등의 ‘초’ 자리에 쓸 수도 있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8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55
180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320
179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320
178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320
177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317
176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316
175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13
174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13
173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313
172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313
171 '-시키다’ 風文 2023.12.22 1310
170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308
169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307
168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07
167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306
166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305
165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305
164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304
163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302
162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301
161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300
160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299
159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2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